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현지
장식띠
지점
작업장
공사장
곳
d라이브러리
"
현장
"(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동물 찾기] 꽃이 낙지를 닮았네! 낙지 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8개로 갈라진 낙지의 다리에는 동글동글하고 중간이 오목하게 들어간 빨판이 잔뜩 줄지어 붙어있어요. 다른 동물이나 물체에 달라붙거나 피와 양분을 빨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빨판’이라는 이름이 붙었지요.오늘 소개할 식물 ‘낙지다리’는 꽃이 낙지의 빨판을 닮았어요. 7~8월이면 낙지다리 ... ...
HELP! 동굴 소년들의 생존 비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전세계가 함께 간절한 마음으로 이들을 응원했지요. 긴박했던 그 당시의 구조
현장
을 자세히 살펴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HELP! 동굴 소년들의 생존 비법은? 사건발생! 소년들은 왜 동굴에 고립되었나?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여름 캠프지요. 올해 개원한 핫플레이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열린 여름 캠프
현장
속으로 출발합니다! 킁킁! 매콤한 향을 내는 나무의 정체는?지구사랑탐사대 2018 여름캠프가 경북 봉화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열렸어요. 7월 20일부터 22일까지 1박 2일 간 2회로 진행된 이번 캠프에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
현장
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화재가 난 가상의 건물에서 무사히 탈출하는 미션을 시작해 봐요.”과학자들은 재해
현장
에서 활약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어요. 긴급한 상황에서 오작동 없이 로봇이 움직이기 위해선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소프트웨어가 기본이에요. 이런 소프트웨어는 ‘코딩’을 통해 만들어진답니다. ... ...
[식물 속 동물 찾기] 이파리가 거북의 꼬리를 닮았네! 거북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거북의 꼬리를 본 적이 있나요? 거북의 꽁무니를 보면 몸통에 비해 작고 앙증맞게 생긴 꼬리가 뾰족하게 삐져나와 있어요. 오늘 소개할 식물은 이파리 모양이 거북의 귀여운 꼬리와 닮아 ‘거북꼬리’란 이름이 붙었어요.거북꼬리는 언뜻 보면 깻잎처럼 생겼지만, 이파리 끝이 깻잎에 비해 더 깊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해외
현장
취재 ➍] 엑소마스 로버 출격 준비! ESSP가 있는 B612 건물에서 차로 수 분만 이동하면 에어버스 D&S에 다다라요. 에어버스 D&S는 항공기는 물론, 위성과 우주관측 장비를 개발하는 곳이에요. 외부의 먼지가 ... ...
[
현장
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둥근 꼬리지느러미와 V자 모양 꼬리지느러미, 누가 더 빠를까?올해 첫 민물고기 탐사는 특별 강연과 하천 탐사로 이뤄졌어요. 지사탐 대원들은 먼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홍양기 박사님께 민물고기의 생태와 특성에 대한 강연을 들었지요.“전세계에는 약 3만 종의 어류가 존재해요. 이는 포유류나 ... ...
[
현장
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전세계 2만 5000종이 사는 대가족, 하늘소6월 9일, 10여 명의 사람들이 한 손엔 곤충 채집망을, 다른 한 손엔 채집통을 들고 모였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과 서울대학교 곤충계통분류학 연구실 이승현 연구원과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웅 연구원이 었지요. 이들은 한 시간 가량 강원도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무게를 달거나 운동선수의 기록을 측정할 때는 전과 동일하다. 다만 과학계나 산업
현장
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박 원장은 “나노과학이나 초고속통신, 양자역학 등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기존 단위 시스템을 적용하는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찾기 위해 설치 예정인 입자 검출기 공사가 한창이다. 11월 6일 국내 언론 최초로
현장
을 찾았다. 이곳은 현재 철광이 운영 중이다. 철광에 가본 것은 처음이었다. 자동차를 타고 예미산을 오르니 거대한 폐석 더미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이날은 예미산 여신(女神)에게 고사를 지내는 날이었다. 한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