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뉴스
"
규칙
"(으)로 총 1,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쥐 한 마리에 데이터 400개...인류 희귀병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변이가 생긴 쥐는 길거리 소음 수준인 60~70dB에서도 뇌파가 잘 나오지 않고, 나와도 불
규칙
하다. 제대로 들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실험에 사용된 쥐는 ‘난청’ 연구를 위해 특별히 유전자를 변형한 쥐다. 유전자 변형 쥐는 특정 유전자만 기능하지 못하도록 딱 하나의 유전자만 바뀐 채 태어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수 있는 발견이었다. 어떤 천체가 목성의 위성이려면 그 천체가 목성 주위를 떠나지 않고
규칙
적으로 계속 배회하는 모습을 관측해야 하므로 상당한 끈기가 필요하다. 갈릴레오는 자신이 새로 발견한 천체를 ‘메디치의 별’이라고 불렀다. 당시 피렌체를 중심으로 한 토스카나 지역을 지배하던 ... ...
독일의 이상한 장난감
팝뉴스
l
2019.11.12
놀이’에 쓰인다. 배설물과 느낌이 비슷한 덩어리들을 깔아놓고 피해 가야 하는 것이
규칙
이다. 단 눈을 가리고 가야 한다. 어디에 문제의 ‘지뢰’들이 있는 정확히 기억하는 것이 필수다. 가족 중 누군가 인조 배설물을 밟으면, 구경하던 이들을 웃음을 터뜨린다. 아주 단순하면서 원초적이 ... ...
‘깊은 잠’이 보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알츠하이머 치매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면서 “서파수면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규칙
적인 생활 습관 및 수면 습관을 갖고 낮잠을 길게 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감마하이드록시낙산(GHB)은 서파수면의 비율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미국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항암치료 위험해서 의사들은 안 받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암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전문의들은 "항암치료를 받으면서
규칙
적인 생활,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가지면 치료 예후가 좋아질 수도 있고 자기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면서도 "식단이나 운동 습관이 바뀐다고 암이 하루아침에 사라지지는 않기 때문에 항암치료와 병행해야 한다"고 ... ...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팀은 구리 기판 표면의 결정구조에 주목했다. 구리 금속은 원자들이
규칙
적인 배열을 이루며 쌓인다. 그런데 같은 구리 금속이라도 어떤 방향으로 자르느냐에 따라 단면(표면)의 결정구조가 다를 수 있다. 수박을 가로로 잘랐을 때와 세로로 잘랐을 때 모양이 다른 것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구리 ... ...
“인증과 실증으로 융합신산업 날개 달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제품과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출시되고 성공할 수 있도록, 고객을 향해 가는 길과
규칙
을 만들어 주는 인증지원과, 먼저 그 길을 달려보고 개선점을 찾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실증지원을 통해 생기원 기업 지원 영역의 스펙트럼을 넓히겠습니다.”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 ...
[주말N수학] 수학자의 상상력에서 탄생한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11.02
등 3가지의 상태만 가지도록 했다. 콘웨이가 고안한 생명 게임은 몇 가지
규칙
이 있다.
규칙
들을 따르다 보면 일정한 주기마다 반복되는 패턴이 있다. 반복적인 패턴은 자기 복제 로봇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같은 형태의 패턴을 주기마다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학동아 DB 관련기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멀리 있는 행성일수록 공전주기가 길어진다는 점을 간파하고 이들 사이에 모종의
규칙
이 있으리라 예상했다. 그 결과를 얻기까지 앞선 법칙들을 발견할 때와 마찬가지로 일일이 손으로 계산해야만 했다. 그렇게 여러 시도를 해 본 결과 케플러는 행성의 공전주기의 제곱이 궤도 장반경의 세제곱에 ... ...
'고분자 나노복합체' 만드는 과정서도 특성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물에서 제조된 복합체의 경우 전체 입자들이 퍼짐이 불
규칙
해 유리처럼 딱딱한 성질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분자 사슬이 길수록 사슬간 엉킴으로 인한 나노입자의 뭉침이 심해져 오히려 계면층이 두꺼운 나노복합체가 더 단단해지는 현상도 확인했다. 김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