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
2022.06.17
‘울프 수정안’(Wolf Amendment)로 이 법안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을 비롯해
미국
정부의 자금으로 운영되는 우주 관련 단체가 중국 정부 및 관련 기관과 직접적 협력을 금지하고 있다.
미국
의 우주기술이 중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입법이다. 또
미국
은 중국으로 넘어간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대학 큐브위성 개발을 비교해달라는 질문에 “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나 해외 기관에서는 연구원들이 큐브위성을 개발하는 대학에 가서 학생을 지도하는 사례가 많다”며 “또 한국은 학생들이 주가 돼 위성시스템까지 개발하는데 해외에서는 시스템은 다른 데서 만들고 대신 탑재체 개발에 ... ...
소행성 류구 시료 "가장 원시적이고 오염되지 않은 순수 물질"
연합뉴스
l
2022.06.10
왜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도 소행성 베누(Bennu)에서 채취한 시료를 갖고 귀환 중이며, 내년 9월 24일 유타주 사막에 이를 떨굴 예정이다. NASA는 베누가 CI 콘드라이트 운석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돼 탐사 대상으로 삼았다. ... ...
미 퍼시비어런스, 화성 생명체 흔적 찾아 길 나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본래 주어진 임무 수행에 나선 것이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달 28일 퍼시비어런스가 착륙지인 예저로 분화구의 '호크빌 갭' 지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39억년 전 강이 흐르며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삼각주 지형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퇴적물은 생명체에 필요한 탄산염 등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용에 들어가기도 전에 유성체와 충돌… 주거울 조정해 성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분석됐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개발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망원경의 거울을 일부 조정했으며 성능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9일 NASA 블로그와 더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25일 사이 미소 유성체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주경을 구성하는 18개 거울 중 하나인 C3에 충돌했다. ... ...
日 "하야부사2가 소행성에서 가져온 흙에서 아미노산 20종 이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7
아미노산을 발견된 것은 처음은 아니다. 앞서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지난 2009는 탐사선 스타더스트가 혜성 빌드2에서 채집한 시료에서도 글라이신을 발견했다. 당시 칼 피처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장은 “이 발견은 생명체의 기본 구성요소가 우주에 널리 퍼져 있으며 우주 생명체가 생각보다 ... ...
기존 천문관측 사진과 클라우드 컴퓨팅만으로 킬러소행성 100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탐색 망원경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 따르면 지금까지 지름이 140m 이상인 지구 주변 소행성 2만5000개 중 40%만 발견됐다.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1만5000개는 지구와 충돌할 때 수억 톤의 TNT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아직 탐지되지 않은 채로 ... ...
한국 첫 우주탐사선 '다누리' 기획부터 발사까지 15년 "이제 준비는 끝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착륙 가능성을 평가한다. 또다른 탑재체인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섀도캠’은 달 극지역의 충돌구 등 음영지역을 촬영한다. 인류가 보낸 달 궤도선 중 처음으로 광시야편광카메라 ‘폴캠’도 주요 탑재체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바한 폴캠은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을 활용해 달 ... ...
자외선 지수가 알려주는 지구환경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당장 오존층을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연구팀은 지난 2010년 오존층 감소로 중위도 지역의 자외선B(305㎚) 수준이 1979년 대비 2008년 약 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최근에서야 오존층이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이 2017년부터 자국 내 염화플루오린화탄소의 불법 ... ...
통가 화산 폭발, 우주 날씨까지 바꿨다
과학동아
l
2022.06.05
UC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유럽우주청(ESA)의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doi: 10.1029/2022GL098577 통가 화산이 폭발한 압력은 지구 상공 60~ 1000km의 전리층까지 전해졌다. 위성에서 측정한 전리층 바람은 최대 초속 200m를 기록했다. 강한 바람은 전리층에 흐르는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