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밀
은밀
극비
비공개
은닉
엄밀
신비
뉴스
"
비밀
"(으)로 총 1,728건 검색되었습니다.
150주년 맞은 네이처가 뽑은 세상을 바꾼 연구성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전자와 유전체에 대한 연구성과들을 냈다. 유전정보에 대한
비밀
을 밝혀내는 데 기초가 된 셈이다. 이밖에도 네이처는 아인슈타인이 예측했던 중력파를 발견한 일이나 태양계 넘어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 발견, 그래핀이나 탄소나노튜브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법, ... ...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제생원에서 교사로 일하던 박두성 선생이 일본 점자를 대체할 목적으로 한글 점자를
비밀
리에 만들어 배포했다. 지금은 수만 명의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활용하고 있다. 2018년 기준 국가에 등록된 시각장애인은 25만 2957명이다. 2014년 국립국어원이 조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증 시각장애인인 ... ...
[주말N수학] 수학자의 상상력에서 탄생한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11.02
페이스 ‘Rev-9’이다. Rev-9은 이전의 터미네이터는 갖지 못한 막강한 능력을 가지고있다.
비밀
에 싸인 Rev-9은 과연 인간을 이기고 기계의 시대를 가져올 수 있을까? 영화 속 세계에서 1997년 8월 29일 인류는 종말을 맞았다. 심판의 날,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스카이넷’은 군사적 목적으로 ... ...
美 공군 X-37B, 우주에서 780일간
비밀
임무 마치고 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미국의 우주비행선 'X-37B'가 이달 27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 착륙한 모습이다. 미국 공군 제공 우주에서 어떤 임무를 수행하는지 알려지지 않은 미국의 무인 우주비행선 X-37B가 780일간의 베일에 싸인 우주비행을 마치고 귀환했다. 미국 공군은 공군이 운용 중인 ‘X-37B 궤도시험선’ ... ...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50년만에 과학적 복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이름이 붙었다. 한동안 몸의 다른 부위 화석이 발굴되지 않아 전체 형태가 오랫동안
비밀
에 싸여 있었는데, 2009년 이융남 교수(당시 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와 이항재 연구원이 참여하는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팀이 성체와 어린 개체로 밝혀진 또다른 부위의 화석을 추가로 발굴하면서 정체가 ... ...
장내미생물 '원격' 신호전달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골수 내에서 CX3CR1+ 단핵구세포(초록색)와 조혈전구세포(보라색)가 접촉하고 있다. CX3CR1+ 단핵구세포는 미생물 신호를 인지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염증성 싸이토카인으로 조혈과정을 촉진한다. 포스텍 제공 우리 몸에는 2000여 종 이상의 미생물이 수백조 마리 살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장 속에 살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깃편모충류' 군집 형태로 배아 발달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0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깃편모충류(Choanoflagellate)가 군체를 이룬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깃편모충류는 바다에 사는 원생생물(단세포 진핵생물)로 긴 편모가 하나 있고 그 주변에 깃이 펄럭이는 형태를 가졌다. 깃편모충류는 유전자 서열에 있어 동물과 가장 가까운 친척 ... ...
日 경제보복 타격 ‘소·부·장’ 살리기 위해 KAIST가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하는데 이런 내용이 외부로 알려질까 두려운 것이다. 자칫 경쟁력을 강화하려다 기업
비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충북 청주의 한 소재 제조 회사인 C사 관계자는 “기술자문단으로 활동하는 교수 중 경쟁사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교수가 있다는 점도 기술자문을 꺼리게 하는 ... ...
한미연구팀, 세포들이 넓은 공간에서 소통하는 방법 발견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수 있다. 한국과 미국의 국제 연구팀이 넓은 공간에서도 의사소통 하는 세포의
비밀
을 풀었다.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매튜 베넷 미국 라이스대 교수, 크레시미르 조식 미국 휴스턴대 교수 연구팀은 합성생물학과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들이 넓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하는 ... ...
열살 맞은 KVN, 블랙홀 제트 원리 규명 등 천문학계 효자노릇 톡톡
2019.10.15
이미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분출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무거운 별의 탄생과 진화의
비밀
을 밝혀 줄 관측도 해냈다. 지난 2016년 KVN을 이용해 무거운 별이 탄생과정에서 방출되는 메이저를 관측했다. 메이저는 전파의 일종으로 이를 관측하면 분자구름 깊숙이 파묻혀 있는 원시성의 자세한 모습을 볼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