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14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내뿜는 실로 상처 꿰매니 회복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상처가 일부 남았다. 전기 자극 봉합사를 사용하면 결합 조직 형성을 돕는
세포
인 섬유아
세포
가 상처 부위로 더 빨리 이동해 치유를 촉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전기 자극 봉합사는 항균 기능이 있어 상처 부위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냈다. 연구팀은 "매일 상처를 소독하지 않아도 세균의 ... ...
[노벨상 2024]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물리학상 영예(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는 인공신경망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진 노드(연결점)가 된다. 각 노드의 연결은 신경
세포
간 연결인 시냅스에 비유된다. 이러한 연결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면서 노드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드 연결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찾는 것은 AI 학계의 주된 과제였다. ... ...
고성능 잉크젯 프린트 헤드로 바이오프린팅 생산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높인 바이오잉크용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바이오프린팅은
세포
와 하이드로젤 등의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인체 조직이나 장기와 같은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기존 잉크젯은 동작 시 발생하는 열 때문에 온도에 민감한 바이오잉크를 토출하기 어려웠다. ... ...
[사이언스영상]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이유
SEIZE
l
2024.10.08
교수가 발견한 lin-4 마이크로 RNA가 어떻게 유전자를 조절하는지 알아낸 것이다. 우리
세포
에 저장된 유전 정보는 모두 DNA에 저장돼 있다. DNA는 암호화된 데이터라 이 정보를 쓰려면 DNA 정보를 mRNA(메신저 RNA)라는 형태로 바꾼 다음 이 mRNA 정보를 읽어서 단백질을 만들어내야 한다. 단백질은 우리 ... ...
[노벨상 2024] 암·신경질환 열쇠 'miRNA' 발견 앰브로스·러브컨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980년대 후반 빅터 앰브로스와 게리 러브컨은 2002년
세포
자살유전자를 규명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호비츠 교수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함께 연구한 동료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메달, 증서와 함께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 ... ...
[노벨상 2024] 마이크로RNA 발견한 과학자 2명, 생리의학상 수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관찰되고 있다. 어떤 조직의
세포
에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 수백 개의 패턴을 분석해 암
세포
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연구도 진행됐다. 러브컨 교수는 앰브로스 교수가 발견한 마이크로RNA인 lin-4가 표적에 불완전한 염기쌍을 통해 표적 메신저 RNA의 번역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으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연세대,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응집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연구팀은 타우 단백질의 R3 반복 영역이 자발적으로 응집해 독성 응집체를 형성하고 신경
세포
손상과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파킨슨병 치료제 ‘톨카폰’이 R3 영역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병리적 타우 응집을 억제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 ...
[과기원NOW] 포스텍, 소규모 대학 평가서 세계 2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흡입 전달에 용이하다. 폐계면활성제와의 상호작용을 유도해 mRNA를 높은 효율로 폐
세포
로 전달할 수도 있다. 쥐 실험에서 연구팀이 개발한 흡입용 mRNA 전달체는 지질나노입자보다 26배 높은 단백질 발현을 유도한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지난달 3일 게재됐다. ... ...
망상·환청 부르는 조현병 정복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낸다. 코벤피는 클로르프로마진과 작동 방식이 다르다. 코벤피는 신경
세포
와 다른
세포
사이에 신경전달물질 신호를 전달하는 뇌 단백질인 ‘무스카린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는다. 무스카린 수용체를 활성화하면 환각 등을 일으키는 도파민 방출이 줄어들 뿐 아니라 인지 및 감정 처리에 ... ...
네이처 "주요 연구성과 발표 평균 20년 뒤 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분석한 결과 일부 학문 분야에게 노벨상이 과도하게 쏠렸다고도 했다. 입자물리학,
세포
생물학, 원자물리학, 신경과학, 분자화학 등 5개 분야가 수상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네이처는 이름과 수상 확률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재밌는 데이터도 내놨다. 네이처는 "600여 명의 수상자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