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뉴스
"
인류
"(으)로 총 3,498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아르테미스 발사체 SLS 세번째 발사 취소...폭풍 북상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2.09.25
탑재체를 올릴 수 있어 지금까지
인류
가 개발한 로켓 가운데 추진력이 가장 크다. 2025년
인류
를 달에 보내는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에 쓰일 예정이다. SLS는 개발 과정에서 여러 문제를 겪으며 기존 예상보다 일정이 늦춰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아르테미스 전체 일정도 밀릴 것으로 예상된다. NASA ... ...
[과찬의말씀] 모더나 창업한 랭거 제자 "mRNA 기술 상용화 투자해야"
2022.09.19
연구 현장에서 느끼는 과학자들의 목소리를 함께 전합니다. “폭풍이 지나가고 우리
인류
는 이전과 전혀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의 말처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가장 극적인 ... ...
현실판 '아마겟돈'...27일 우주선 '다트' 소행성과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위협 소행성’이라 부른다. 지금까지 2000여개가 발견됐다. 지름이 1km 이상인 소행성은
인류
의 기술로 95% 이상 찾아내고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현재까지 지구를 위협할 만한 소행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디모르포스 역시 실제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름이 1km ... ...
"아르테미스 협약, 구속력 없어...적극적 협력 움직임 보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2단계 유인 계획에 이어 최종 3단계에선
인류
역사상 최초의 여성 우주인을 포함한 4명의
인류
를 달에 보낸다는 목표다. 한국은 지난해 5월 약정에 서명해 10번째 약정 참여국이 됐다. 최 수석연구원은 NASA에서 40년간 일하면서 인공위성 센서와 바이오나노 배터리, 극초소형 분광기, 태양열 로켓, ... ...
지질연 '美 달 자원 활용' 한국 허브 역할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2단계 유인 계획에 이어 최종 3단계에선
인류
역사상 최초의 여성 우주인을 포함한 4명의
인류
를 달에 보낸다는 목표다.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을 화성 유인 탐사와 심우주 탐사로 이어지는 로드맵의 첫 단계로 보고 있다. 지질연의 ISRU 구상안을 그래픽으로 나타냈다. 지질연 제공 ISRU는 이런 ... ...
국내 우주자원 개발 주도권 확보 위해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4
현지자원활용 기술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달 현지 자원 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인류
의 삶을 위한 우주 자원 확보를 논의한다. 조 의원은 “한국 미래 먹거리인 달 자원 탐사와 활용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 ...
현대인과 네안데르탈인 뇌가 다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위키미디어 제공 현생
인류
의 멸종한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의 뇌와 현대인의 뇌 사이 차이점이 밝혀졌다. 뇌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현대인의 뇌에는 돌연변이 DNA가 있어 인지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빌란트 ... ...
[표지로 읽는 과학] 당나귀는 7000년보다 더 오래전 가축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1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당나귀는 수천 년 동안 인간에게 유익한 동물이었다. 다양한
인류
문화권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장거리 운송 도구를 제공했다. 오늘날에도 반건조 고지대 환경에 사는 중저소득 국가 지역에서 이 지역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프라카, 유럽, ... ...
3만1000년 전 유해에서 다리 절단 수술 흔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팔다리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맥심 오버트 그리피스대
인류
학과 교수는 "인간이 농사를 시작하고 정착지에 자리잡기 이전부터 병에 걸리거나 손상된 다리를 절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UST, 배터리·바이오센서·우주기술 등 전문가 57명 신임교원 임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7
이슈를 짚어보는 국제학술포럼을 개최해왔다. 박상진 기계연 원장은 "탄소중립은 전
인류
가 직면할 수밖에 없는 과제로 이번 포럼은 열에너지 기술의 영향력을 짚어보며 우리가 나아갈 길을 모색해보는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기상청은 지진 안전 및 지진정보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기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