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증
초록
발췌
흉내
모방
시늉
뉴스
"
인용
"(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자가 ‘초전도 현상’ 영문실험서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초전도 과학 분야 전문가다. 2016년부터 2년간 한국초전도학회장을 지냈다. 과학기술논문
인용
색인(SCI) 기준 150편의 초전도 관련 국제 논문을 쓰며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책에는 김 책임연구원이 고안한 20여 가지의 실험 기법과 데이터, 직접 촬영한 400장의 사진 자료가 수록됐다. ... ...
실제 사자 세계에서는 '심바'와 '날라' 다시 만날 일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일도 없고 어린 심바가 도망갈 일도 없다. 뉴욕타임즈(NYT)는 22일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
해 “영화 ‘라이온 킹’이 실제 사자 가족의 역학관계를 제대로 담고 있지 않다”며 영화와 실제 사자 무리의 행동에 대해 비교했다. 다큐멘터리가 아닌 영화 라이온 킹과 실제 사자 간 가장 큰 차이는 실제 ... ...
印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인도 매체 ‘인디안 익스프레스’는 찬드라얀 임무에 참여중인 ISRO의 한 과학자를
인용
해 GSLV 마크3의 헬륨 탱크의 압력이 떨어진 것이 발사 연기의 원인이었다고 21일 보도했다. 헬륨은 발사체 연료인 수소 탱크의 압력을 조절해 발사체가 폭발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ISRO의 과학자는 ... ...
印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 오늘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인도 매체 ‘인디안 익스프레스’는 찬드라얀 임무에 참여중인 ISRO의 한 과학자를
인용
해 GSLV 마크3의 헬륨 탱크의 압력이 떨어진 것이 발사 연기의 원인이었다고 21일 보도했다. 헬륨은 발사체 연료인 수소 탱크의 압력을 조절해 발사체가 폭발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ISRO의 과학자는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실패 두려워하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2019.07.20
그는 우주항공 평가기관인 퓨트론의 ‘2014 우주 분야 경쟁력 지표(SCI)’ 자료를
인용
해 “우리나라 우주산업은 8위로 최근 달 탐사를 시도한 이스라엘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하지만 인적 자원 지수 평가에서 해외 우주 분야 인력을 이민시켜야 한다고 평가 받을 만큼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버에어 닮은 도심 개인항공기, 무인 틸트로터 기술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새로운 항공기를 개발할 때엔 무엇보다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며 "특히 개
인용
항공기는 1~4명이 자가용 또는 택시 대용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기에 안전성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아직 유인기 수준은 아니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200kg급 틸트로터 무인기를 개발해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심우주로 유인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남겼던 ‘한 사람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커다란 도약’이라는 말을
인용
했다. 그는 “사실 소행성을 탐사하는 일은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든다”면서도 “소행성 탐사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이 세 가지나 있다”고 말했다. ‘초기 태양계에 대한 ... ...
인보사 허가 취소와 회수, 폐기 잠정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서울행정법원과 대전지방법원은 11일 코오롱생명과학이 낸 가처분 신청을 잠정
인용
했다. 인보사의 회수와 폐기는 26일까지, 품목허가 취소는 29일까지 정지한다고 통보했다. 인보사는 2017년 7월 국내 첫 유전자치료제로 식약처의 허가를 받았으나, 주성분 중 2액이 허가사항과 달리 종양 유발 ... ...
미래 전자기기 편의성 더할 '부드러움'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관련 논문의 60%를 우리 연구단이 발표했다”며 “3년간 과학논문
인용
색인(SCI)저널에서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분야 논문 수가 한국이 10%를 차지했는데, 연구단이 이 분야 연구의 6%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연구방향을 하나로 모아 집중하다보니 성과가 커진 것이다. 조 단장은 ... ...
치타 로봇 아버지 김상배 MIT 교수, 네이버랩스 기술고문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김 교수는 MIT에서 생체 모방 로봇연구소를 이끌며 4족 보행 로봇을 연구했다. 논문
인용
횟수가 누적으로 6000건이 넘을 정도로 세계적인 권위자다.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에 나선 김상배 교수는 2006년 스탠퍼드대 박사과정 시절 도마뱀의 모습에서 영감을 얻어 수직으로 벽을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