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64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철 낙뢰 피하려면 우산 들지 말고 차량·건물에 머무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2.06.27
빨리 이동하고 부득이하게 뇌운이 접근하는데도 이동해야 한다면 최대한 몸을 낮추고, 한
쪽
발만 땅에 접촉하거나 짧은 보폭으로 달리는 것이 좋다. 또 운전중이라면 안전한 곳에 자동차를 멈추고 차에서 내리지 말아야 하다. 자동차에 낙뢰가 내려칠 경우 순식간에 차체 외부를 거쳐 곧바로 ... ...
26일 새벽 일렬로 선 태양계 행성 5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하늘 끝에 수성부터 순서대로 다른 행성들이 일렬로 늘어서게 된다. 토성이 남
쪽
하늘 위
쪽
에서 마지막 자리를 잡는다. 이들 행성이 일렬로 보이는 이유는 각 행성의 공전 궤도가 지구에서 볼 때 한 방향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천문연은 “달이 그믐에 가깝고 수성의 고도가 3도 이상인 6월 26일 ... ...
올해 첫 장마 '폭우→폭염→폭우'…내일까지 강한 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중심으로 장맛비가 예상된다. 저기압 소용돌이가 예상보다 더 발달하면 정체전선이 남
쪽
으로 밀려 남부지방에도 비가 오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잦은 가뭄과 산불로 산사태에 취약한 만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는 산사태 취약지역과 하천과 해안가 저지대, 야영장 등을 사전 ... ...
"한발로 10초 서기 잘 안되면 7년내 사망위험 84%↑"
연합뉴스
l
2022.06.22
관찰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양팔을 허리춤에 붙이고 정면을 응시한 채 어느
쪽
발이든 상관없이 총 3차례 중 한 번이라도 한 발로 10초 이상 균형을 유지하면 '성공', 그렇지 못하면 '실패'로 기록됐다. 그 결과 전체의 20.4%가 균형잡기에 실패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팀이 약 7년 후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했다. 2009년 8월 나로호(KSLV-) 발사 당시 페어링 한
쪽
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실패한 만큼 긴장을 늦출 수 없었지만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했다. 발사 245초 후에는 고도 200km를 통과했다. 발사 274초 후 고도 258km에서는 2단 로켓이 연소를 마치고 분리됐다. 곧 ... ...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한다. 2009년 8월 나로호(KSLV-Ⅰ) 발사 당시 페어링 한
쪽
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실패한 만큼 긴장을 늦출 수 없는 단계다. 발사 274초 후 고도 258km에서는 2단 로켓이 연소를 마치고 분리된다. 2단 로켓은 고도 252km에서 시속 1만5480km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작동해야 한다.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신호를 받아서 궤도를 정상적으로 도는지를 수신하게 된다. 발사 46분 후 남극
쪽
에서 수신을 하고 항우연 수신국에서도 1시간 뒤 정도에 신호를 받는다. 다음날 새벽 항우연 수신국에서 gps 신호를 받을 수 있다. Q 마무리 발언은 A 많이 여러분이 응원해주시고 성공 기원 감사하다. 발사 안전이나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배선을 쓰는 대신 모듈끼리 빛으로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새롭게 적용했다. 한
쪽
모듈에 설치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정보를 담은 빛을 쏘면 다른 모듈들이 빛 패턴과 세기를 인식해 다시 정보로 변환하는 원리다. 빛이 칩 전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모듈을 어디에 배치해도 정보를 전달할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 적응에 나선 북극곰 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생활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 지역의 서
쪽
은 높고 가파른 산봉우리들이 솟아있고 동
쪽
해안 유속은 굉장히 빨라 북극곰들이 고립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고립된 북극곰들의 가장 독특한 점은 생활반경이었다. 다른 지역의 북극곰들이 해빙을 타고 바다 멀리 나가 사냥하는 것과 달리 이 지역의 ... ...
[2022 필즈상 후보](9) 기후변화 예측하는 방정식을 푸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2.06.18
먼지의 높이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는 것입니다. 코윈 교수는 그런 KPZ 방정식의 해가 한
쪽
꼬리가 길게 늘어진 ‘트레이시-위덤’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강의 중인 아이반 코윈 교수의 모습 코윈 교수는 2021년에는 입자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여러 모형에서도 트레이시-위덤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