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뉴스
"
천체
"(으)로 총 1,30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의 밤하늘이 위험하다" 새해 수 천대 위성 발사 앞두고 천문학자들 또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아주 작은 점이 일시적으로 빛을 내는 정도로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원웹에서는
천체
관측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파 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궤도인 약 1200km 상공에 인공위성을 쏴올릴 계획이다. 원웹 ... ...
천문학자·우주과학자 75인 집필한 검증된 온라인 천문학 백과사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늘어나는 만큼 이론과 시뮬레이션 연구 성과도 비약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로운
천체
와 천문학적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천문학 용어가 늘어남에 따라 명확한 정의와 학문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천문학 백과사전을 편찬하게 됐다"고 밝혔다. 채종철 천문학 백과사전 ... ...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행성으로 확인됐다. 지름이 14km와 19km인
천체
두 개가 각각의 중력에 이끌려 빙글빙글 돌다 지금의 형태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로부터 약 1억5000만㎞ 떨어진 소행성 ‘베누’를 탐사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오시리스-렉스’와 ... ...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모양으로 휘감긴 듯한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했다. 또 올해 말에는 스페인 카나리아
천체
물리학연구소의 과학자들이 ESA의 가이아 우주망원경을 분석해 약 100억 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왜소은하의 흔적을 발견하기도 했다. 우리은하처럼 크기가 비교적 큰 은하는 주변의 작은 은하들을 ... ...
'실패했어도 칭찬해'…민간최초 달착륙 시도 올해를 달군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블랙홀은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중력이 강한
천체
다. 빛이 빠져나가지 못해 어둡고 지구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직접 관측된 사례는 없었다. 4월 10일 처음 관측에 성공한 블랙홀의 모습이다. M87 은하의 초대질량블랙홀의 그림자가 보이고 그 주변을 감싼 빛이 ... ...
달에 '거미'를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소년은 아홉 살이 되면서 망원경을 혼자 힘으로 만들었다. 12세에는 직접 렌즈를 갈아
천체
관측용 반사망원경도 제작했다. 어른이 된 뒤 성공한 정보기술(IT) 기업 대표가 됐지만 끝내 우주에 대한 꿈을 잃지 않았다. 잘나가던 회사를 팔고 달 탐사를 비롯해 우주 탐사에 활용될 로봇을 만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방법을 택했다. 블랙홀은 중력이 강해 시공간을 휘고 빛조차 휘게 한다. 블랙홀 뒤
천체
에서 나오는 빛도 휘어져서 보인다. 이런 빙식으로 블랙홀 앞뒤로 휘어진 빛(블랙홀의 그림자)을 통해 블랙홀 윤곽(사건의 지평선)을 관측했다. 연구팀이 관측한 블랙홀의 그림자는 지름이 약 1000억㎞, 실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설계됐다. 이 프로젝트는 2010년 시작됐는데, 당시는 FRB가 2007년 처음 관측되면서 새로운
천체
미스터리에 관한 학계의 관심이 쏠리던 때다. 캐스피 교수는 차임 망원경이 가진 감도와 광시야가 FRB를 관측하는 데 이상적이라고 봤다. 캐스피 교수는 차임 망원경이 FRB 관측에도 유용할 수 있도록 ... ...
[데스크칼럼] 중앙과학관장 '귀환'과 중력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우주 탐사선이 먼 우주로 나아갈 때 추진력을 얻기 위해 추진체가 아닌 중력이 큰
천체
주위에 가까이 돌면서 생기는 힘으로 먼 우주로 튀어나가는 우주 항행 방식이다.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와 토성의 위성 타이탄 착륙선인 하위헌스로 구성된 ‘카시니-하위헌스’가 지구와 금성, 목성에 접근해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행성으로 확인됐다. 지름이 14km와 19km인
천체
두 개가 각각의 중력에 이끌려 빙글빙글 돌다 지금의 형태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구글이 새로 개발한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가 특정 과제를 푸는 임무에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슈터컴퓨터를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