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흔히 전기가 통하면 도체, 통하지 않으면 부도체라고 부른다. 하지만 부도체 중에서 간혹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고분자 물질인 폴리아세틸렌 ... 이용해 전자 하나로 1비트를 처리하는 소자를 만들면 발열과 전력 소모를 모두 줄인
초소형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포스포린을 이용하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어 고성능
초소형
반도체 소자 개발이 가능하다. 김 교수는 “포스포린은 그래핀의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 그래핀 상용화의 걸림돌인 밴드갭 문제도 없다”면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연구가 그래핀에서 포스포린으로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빛을 이용해 PCR을 진행하는 개념도. - 루크 리 UC버클리 연구실 제공 메르스 확진에 쓰이던 메르스 유전자 검사(PCR)를 5분 안에 마칠 수 있는 기술을 미국 연구진이 개발했다. 손준호 연구원 등 한인 과학자가 포함된 미국 UC버클리 연구진은 ‘LED(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를 이용해 빠른 시간 ... ...
노바티스 연구성과 발표 현장 가보니
동아일보
l
2015.07.20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게 만드는 소형화 기술. 두 겹으로 된 얇은 소프트렌즈 사이에
초소형
칩과 센서를 삽입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노바티스 관계자는 “현재 바늘로 하는 혈당체크를 대신할 혁신적인 제품을 5년 내에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바티스의 신약 연구 성과 발표에 많은 ... ...
사람 손 필요없는 ‘스마트 공장’ 실현 성큼
2015.07.09
금형 안에 열에 녹인 플라스틱을 넣은 뒤 굳혀 대량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다.
초소형
에 정밀함까지 요구되는 스마트폰용 렌즈부터 자동차 부품 제작까지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제품이 나오기 전까지는 온도, 압력 등 내부 상태가 파악이 안돼 불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내부 센서가 ... ...
초소형
휴대전화 기지국 ‘스몰셀’ 국산화 성공
2015.06.22
고집적 다중안테나(Compact MIMO)’를 하나로 묶어 이 기술을 개발했다. 스몰셀은
초소형
기지국으로 휴대전화 통신망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 기지국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데, 중계기의 전송속도에 한계가 있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인터넷 ... ...
1000배 더 빠른 USB메모리 개발 가능해졌다
2015.06.21
저장장치 소자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황철성 서울대 교수팀은 USB메모리 등
초소형
저장메모리에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자가 정류·저항변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소자는 기존 제품에 비해 저장하고 쓰는 속도가 1000배 빠른 것이 가장 큰 ... ...
생활 속 버려지는 자기장으로 전기 만든다
2015.06.16
바꿀 수 있는 스마트복합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압력을 받으면 전기가 생기는
초소형
압전소자와 자기장과 만나면 모양이 변하는 자기변형재료(자왜재료)를 섞어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소재를 이용해 소형 컴퓨터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센서 장치를 구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 이렇게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사슴, 언뜻 보면 강아지·새끼 염소같기도…
동아닷컴
l
2015.06.10
동아닷컴] 강아지와 새끼 염소를 연상케하는 멸종위기종
초소형
사슴이 태어났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사슴 종인 푸두사슴 한 마리가 뉴욕의 한 동물원에서 태어났다”는 제목으로 태어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푸두사슴의 사진 한 장을 8일(이하 현지시간) ... ...
50배 더 또렷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온다
2015.05.25
말이다. 이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금속구조물을 개발했다. 이 구조물을 이용하면 3원색을 각각 설치할 필요 없이 모든 천연색을 소자 하나로 표현 할 수 있다. 한 개의 소자로 총 천연색을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낸 것은 이번이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