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스페셜
"
둘임
"(으)로 총 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우즈의) 1977년 논문은 미생물 분야 아니 생물학 전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논문 가운데 하나다. 이 성과는 왓슨과 크릭(DNA이중나선 발견)이나 다윈(진화론 제안)의 업적에 맞먹는 것으로 미생물 세계의 놀라운 다양성에 대한 진화론적 뼈대를 제공했다. - 저스틴 조넨버그, 스탠퍼드대 미생물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재작년부터인가 필자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캡슐을 하루에 하나씩 먹고 있다. 캡슐 하나에는 장을 비롯한 우리 몸에 좋다고 실험적으로 밝혀진 6가지 장내미생물 수 억 마리가 건조된 채 들어있다. 강산성인 위액에 녹지 않게 코팅돼 있어 위를 통과해 장까지 간다는 생각만 해도 흐뭇하다. 요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최근 미국에서 독감이 무서운 기세로 번지고 있는 모양이다. 독감 사망자가 이미 100명을 넘고 보스턴과 뉴욕은 공중보건 비상사태까지 선포했다고 한다. TV에서도 병원 응급실마다 환자로 넘쳐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09년 신종플루 대유행 이후 좀 잠잠하다 싶었는데, 다시 사람들을 긴장시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지난해 출간된 책 ‘나는 몇 살까지 살까?’는 1500명의 인생을 80년간 추적한 수명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를 담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루이스 터먼 교수가 1910년대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그의 사후 후배 연구자들에게 이어져 결실을 맺었다. 그런데 결과는 놀라웠다. 우리가 장수의 비결이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 강석기 제공 짐승은 목이 마르지 않으면 물을 한 방울도 마시지 않는다. - 출처 미상 18세기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을 비롯한 불멸의 철학서를 써 ‘철학=칸트’라는 인상을 남겼지만 기이한 습관으로도 유명하다. 즉 칸트 ... ...
미래창조과학 국제컨퍼런스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 미래창조과학부는 ‘미래창조과학 국제컨퍼런스’를 5월 21일~22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다. □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하는 본 행사는 ’05년에 방송분야의 국내․외 정보교류를 위한 ‘국제방송컨퍼런스’로 시작하여, ’08년 방송통신분야를 포함한 ‘국제방송통신컨퍼런스’로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몽골 초원에서 야생 상태로 살고 있는 프르제발스키 말. 생김새가 보통 말과는 꽤 다르고 염색체 개수도 다르지만 같은 종으로 분류하는 게 대세다. - Claudia Feh 제공 지난 해 초 국내 과학계는 난데없이 생물학 교과서 진화론 폐기 논란에 휩싸였다. 한 종교 계열 단체에서 제출한 교과서 개정 청원(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KASBP는 6월 18일 미국 보스톤에서 ‘한미FTA와 세계화‘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세계회를 위해서는 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우선 해외 한인 과학자들을 적극 활용해야죠. 또, 아이디어 중심의 벤처 육성과 전임상·임상을 위한 연구자도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2020년까지 세계적 신약 10개를 개발하고 글로벌 기업 12개를 키워 세계 7대 제약강국으로 도약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안도걸(47·사진)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 선진화를 위해선 ‘선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기술은 세계 8위에 달하지만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우리나라는 생명 공학의 기초연구개발에 대한 평가가 정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성과에 급급하게 됩니다.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과학자들이 장기적이고 국제적인 성과를 위해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그래야 명망 있는 학자를 길러낼 수 있습니다.” 6일 이영식 ... ...
이전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