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스페셜
"
초
"(으)로 총 1,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코로나 백신 접종 계획대로 진행중…11월까지 3600만명 2차접종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기획팀장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당
초
계획한 대로 11월까지 3600만 명에 대한 2차 접종까지 완료할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선 3600만 명의 1차 접종은 9월까지 완료해야 하며,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손영래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역사적인 비행 성공(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데이터를 전달받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 인저뉴이티는 당
초
11일(미국 동부 시간) 30
초
간 역사적인 첫 비행을 추진하려고 했다. 그러나 비행에 앞서 진행된 날개 고속 회전 시험에서 문제가 발생해 일정이 연기돼 이날 역사적인 첫 비행 테스트가 이뤄졌다. 인저뉴이티는 한국 시간으로 2월 1 ... ...
[생중계] 화성 헬기 ‘인저뉴이티’ 첫 비행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있는 임무에 도전한다. 비행 시험이 성공하면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 형제가 인류 최
초
로 비행에 성공한 이래 처음으로 지구가 아닌 곳에서 인류가 만든 비행체가 하늘을 처음으로 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 ☞ 화성 첫 무인 헬기 시험 19일 재도전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5771 ... ...
화성 첫 무인 헬기 시험 19일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4.18
알 수는 없다. 화성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2억7840만㎞로,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데 15분 27
초
가 걸린다. NASA는 19일 한국시간으로 한국시간 19일 오후 7시 15분부터 인저뉴이티가 보내온 비행 영상을 토대로 비행 성공 여부를 알리는 인터넷 생방송을 진행한다. 화성 첫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가 비행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래 반도체 물질 ‘강유전체’ 구조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7
일어나는 스커미온의 특성을 규명한 것”이라며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데이터를
초
고속으로 처리하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인터넷 서비스의 도전자들
2021.04.17
경제부를 거쳐 디지털뉴스팀장을 지냈다. 한국기자협회 국제교류분과위원장을 지냈고 올
초
미국 우주전문 매체 스페이스 뉴스에 합류해 서울 특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
화이자 CEO '3회 접종안' 제시...美 부스터샷 계획 수립중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아 그 효능이 얼마나 유지되는 지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 이달
초
화이자는 3상 임상시험 참가자 1만2000명을 분석한 결과, 접종 6개월 후에도 91% 이상의 예방효과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모더나도 최근 비슷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최소 6개월까지 백신의 예방효과가 증명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이 우주의 속도제한, 그리고 E=mc²
2021.04.15
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입체파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20세기
초
반의 혁신적인 도전이었다. 입체파의 그림을 상대성이론의 언어로 말하자면, 보는 관점에 따라 사람과 사물의 모습이 달라 보이지만, 예컨대 ‘우는 여인’이라는 실체는 변함이 없다. 상대성이론은 시점에 따라 ... ...
中도 화이자·모더나 방식 따라간다…"현재 불활성화∙바이러스 벡터 백신 효과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모더나의 mRNA 백신이
초
저온 보관이 필요하다. 이 백신을 개발한 연구팀은 이를 근거로 “
초
저온 보관과 운송의 문제를 크게 줄여 일부 개발 도상국에도 보급될 수 있는 백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블루오리진 15번째 시험비행 성공…다음 번 사람 태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2006년 엔진과 로켓 본체의 시제 모델(프로토타입) 개발을 마쳤고, 2010년대
초
부터 본격 개발에 들어갔다. 길이 18m의 1단 로켓이다. 로켓과 캡슐로 구성돼 있으며 둘 다 재사용이 가능하다. 로켓은 대기권과 우주의 경계로 불리는 100㎞ 상공까지 올라가 승객용 6인용 캡슐을 분리한다. 캡슐이 지구로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