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격리된 방에서 교신하려면?
과학동아
l
200112
공기같은 물질이 진동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만약
우리
가 사는 곳이 진공상태라면
우리
는 아무 소리도 들을 수 없다. 그 이유는 소리를 전달하는 물질, 즉 매질이 없기 때문이다. 소리의 매질은 공기와 같은 기체뿐만 아니라 고체와 액체도 속한다.소리는 왜 공기보다 용수철에서 더 빨리 ... ...
우리
삽살개
과학동아
l
200112
삽살개’의 ‘삽’은 ‘없앤다 또는 쫓는다’라는 뜻이며, ‘살’은 ‘귀신 혹은 액운’을 뜻한다. 즉 삽살개란 귀신을 쫓는 개라는 의 ... 지금까지 단체를 이끌어 오고 있다. 삽살개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우리
토종개로서 삽살개를 인식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12
가둬둘까. 간단해 보이지 않지만 불가능하지는 않다. 핵융합 반응을 위한 플라스마는
우리
가 숨쉬는 공기보다도 10만배 정도 밀도가 낮아 플라스마 복사열에 의해 진공 용기가 용해될 가능성은 적다. 대신 고온의 플라스마 입자가 용기 벽에 직접 접촉해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가 손실되는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12
새로운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성숙이 강조돼야 하는 이유다. 새로운 혁명 준비이제
우리
는 성능의 한계를 지닌 단일 컴퓨터에서 끙끙대던 시절을 지나 나의 컴퓨팅 자원과 다른 사람들의 컴퓨팅 자원을 알게 모르게 서로 나눠 쓸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전세계의 사람들과 협력해 하나의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12
특징으로 드러났다. 혈액단백질과 초위성체 분석 결과 역시 북방견인 에스키모개와
우리
토종개들이 밀접한 관계임을 확인시켜줬다.최근에 행해진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은 겉모습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삽살개와 진돗개는 유전적 배경이 대단히 흡사한 토착개 집단이며,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12
독자성이란 유일무이한 유전적 독자성, 즉 유일무이한 게놈을 가짐을 의미한다. 그런데
우리
들은 유전적으로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들이 어떤 권리가 손상되고 있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인간이 유일무이한 독자성을 가질 권리가 있다는 것은 개개인이 각자를 질적으로 독특하게, 그리고 타인과 ... ...
언어 능력 담당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111
‘종의 기원’으로 잘 알려진 영국의 유전학자 찰스 다윈의 말이다. 다윈의 말처럼
우리
는 본능적으로 말을 따라하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한다. 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인 결함을 갖고 있는 사람은 이런 자연스런 기능을 실행하지 못한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11
이라는 물질로 밝혀졌다. 커큐민은 앤지옴의 구성약물인 울금의 주요성분이다. 울금은
우리
가 즐겨먹는 카레의 주성분이기도 하다. 커큐민에 대한 암전이 억제효과는 1996년 혈관신생 연구학회에서 보고된 적이 있으며 미 국립암센터에서도 관련된 임상연구가 진행 중이다. 비록 전혀 다른 배경과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11
T세포를 도와 암의 전이와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동서 따로 없는 암 극복 방안현재
우리
나라는 한의학과 서양의학이 의료제도상으로 나뉘어져 동서 의학의 협동진료가 어려운 형편이다. 더욱이 서양의사는 암에 대한 한방치료를 잘 이해하지 못해 대부분이 병용치료를 거부하는 풍토다. 물론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11
천균, 천름, 천창 별자리 등이 있으니 모두 창고나 낟가리를 뜻한다.그러나 아쉽게도
우리
조상들은 가을철 별자리에는 별로 주목하지 않았던가 보다. 물론 가을철에는 밝은 별이 별로 없기 때문인 듯하다. 농사와 관련이 있는 옛날 별 이야기를 간신히 하나 찾을 수 있지만 그 또한 이야기가 너무 ... ...
이전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