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08
색연필로 그려넣는다. 백반은 주위의 광구면보다 밝은 반점으로 나타나며 백반이 많은
곳
은 태양활동이 활발한 영역으로 흑점이 발생하기 쉬운 장소다.다섯째 관측이 끝나면 날씨 시잉 투명도 등을 반올림하여 기입한다. 특이한 현상에 주의하여 접안렌즈로 배율을 높여서 큰 흑점이나 변화가 심한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08
여기에도 표시를 한다. 이 때의 온도가 '어는점'이다. 이 점과 물이 끓을 때 표시한
곳
과의 길이를 재서 1백으로 나눈 값을 한 눈금으로 하여 0부터 눈금을 매기면 섭씨온도계가 되고, 2백73부터 눈금을 매기면 절대온도계가 된다.또 녹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1백80으로 나누어 한 눈금으로 하고 32부터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08
지각은 깊이 침강하여 용암의 플룸에서 솟아오르며, 이 순환이 완성되는 데는 수백만년이 걸린다.지구물리학자들은 최근 지구 내부 열기관의 ... 연구했다. 연구자들은 추적 원소의 풍부도가 해구마다 다양하지만, 각각의 지역에서는 그
곳
에서 분출된 용암 속의 퇴적물과 일치함을 발견했다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07
2개 동체는 본체에서 분리돼 대서양 해면에 낙하되었다. 연안에서 약 2백40km 떨어진
곳
에 낙하산으로 하강한 이 두 고체연료 로켓은 견인선에 의해 예인돼 재활용된다.점화 후 8분 42초 시점에는 거대한 중앙 본체 액체연료탱크 속의 액체수소와 액체산소는 소진된다. 연료를 다 소비한 연료탱크(35t)는 ... ...
(1) 생성 및 광채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07
가장 대표적인 보석인 다이아몬드는 고온(1천1백~1천3백℃) 고압 상태인 땅속 깊은
곳
(지하 약 80km)에서 만들어진 마그마가 분출해 형성한 파이프형 화산암내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1870년경 남아프리카공화국 킴벌리 지방에서 다이아몬드를 함유하고 있는 각력질 초염기성 화산암이 처음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07
등에 사용되는 니켈 철 합금의 퍼말론 등을 연구 개발하는
곳
이다. 요즘들어 이
곳
에서 가장 관심있게 연구하고 있는 분야는 박막자성재료. 멀티미디어용 오디오의 헤드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재료다.박막 연구는 KIST가 지난 5월 발표한 'KIST 2000 연구 프로그램'의 하나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 연구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07
모형비행기를 날리면서 간직한 에피소드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최근의 예로는 더 좋은
곳
을 촬영하기 위해 현재의 비행위치보다 더 멀리 날려 보내다 비행기를 잃어버려 애를 태우기도 했다. 지나가는 버스에 부딪친 적도 있으며 숲속에 떨어진 모형비행기를 찾느라 한바탕 소동을 벌인 적도 있다.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07
각종 가전제품에 의해서 다른 에너지로 바꾸기 쉽고, 전선을 타고 가므로 한
곳
에서 다른
곳
으로 이동하기도 다른 에너지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에너지 중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에너지는 열에너지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열에너지가 모든 에너지의 변환과정에서 마지막으로 남는 에너지이기 ... ...
젊은 패기로 기고만장했던 시절
과학동아
l
199307
얼마 전 캐나다 맨니토바 대학 교수로 있는 김원겸 박사가 사진 한장을 보내왔다. 사진을 받고 나는 한동안 넋을 잃고 들여다보았다. 그것은 지금부터 35년 전인 1958년 ... 진정 몰라서 겁없이 덤벼드는
곳
이 학문의 세계가 아닌가 싶다. 하긴 세상만사 어느 한
곳
쉬운 데가 있을까마는 ... ...
침몰 유조선 피해 줄이는 유압형 닻줄장치 개발
과학동아
l
199307
강한 닻줄이라도 유조선의 닻줄은 결국 끊어진다. 닻에 의해 유조선이 표류하지 않고 한
곳
에 고정된다면 해양의 기름오염 피해는 상당히 줄일 수 있다.영국의 조선기사인 리지웨이는 유조선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유압모터를 장착한 새로운 닻줄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닻줄에 ... ...
이전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