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있는 척관단위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하면서 거래 단위를 통일시키는 과정에서 정해
진
것이다. 대한제국이 도량형에서조차 일본에 예속되면서 일본이 우리 경제를 수탈하는 길을 열어준 사건의 잔재인 셈이다. 역설적이게도 현재 척관법의 원조인 중국과 우리에게 평이나 돈 단위를 정해준 ... ...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뽑는 것이 관례였다.그러나 예상 외로 여러 군수업체에서 연락이 왔다. 권 교수가 가
진
기술과 경험이 군사 레이더 장비를 개발하는데 필수였기 때문이다. 고심 끝에 록웰사이언스센터에 연구원으로 입사해 미사일을 요격하는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레이더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의 연속성에 대한 오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전자를 끌어당기는 정도도 아주 작다. 반면 Cl은 전기음성도가 3.2로 아주 높은 값을 가
진
다. 따라서 Na와 Cl이 만나면 이온결합해 소금을 만든다.그럼 소금은 100% 이온결합으로 이뤄져 있다고 할 수 있을까. 아니다. 마찬가지로 수소기체 분자도100% 공유결합으로 설명할 수 없다. 100% 이온결합도,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type)이라고 하는데, 고폭장치가 얼마나 정확히 작동하는가에 따라 폭발 위력이 달라
진
다.우라늄탄은 플루토늄탄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다. 농축한 우라늄235(${U}^{235}$)에 뇌관을 설치하면 바로 우라늄탄이 된다. 하지만 그대로 사용할 경우 뇌관이 오작동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우라늄235(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찾아 디자인해야 한다. 사람의 감성에 맞춰 과학기술이
진
보하는 셈이다.김 탐정은
진
공청소기 소음을 줄이는 방법과 감성소음에 대해 정리해 다시 국가비밀연구소라는 곳으로 e메일 답장을 보냈다.“이 정도면 이제 무슨 상이라도 주겠지!”그 다음날 김 탐정은 자명종이 울리기도 전에 일어났다. ... ...
누가 가장 많은 홈런을 칠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6가지 요인을 고려해 은퇴한 홈런선수들의 통산 타석당 홈런수를 추정했고 이렇게 만들어
진
모형을 갖고 푸홀스의 홈런수를 예측했다. 그 결과 데뷔 6년차인 현재까지 247개의 홈런을 기록 중인 푸홀스가 특별한 부상 없이 본즈만큼 꾸준히 활약한다면 783개라는 놀라운 통산 홈런수를 달성할 ... ...
7427466391.com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정답은 199981이다.구글은 2004년 ‘{자연상수 e를 십
진
전개할 때 연속된 10개의 숫자로 이뤄
진
첫 번째 소수}.com’이라는 수학 문제만 담긴 간판을 실리콘밸리 중심가를 통과하는 고속도로에 세워 놓기도 했다. 정답은 7427466391이다. 이 문제를 풀어 http://7427466391.com에 접속하면 2번째 관문인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시추 외에도 갱내에 수갱(竪坑) · 통기공 · 배수공 등을 설치하거나 갱도굴
진
을 위한 선
진
시추(先進試錐)에 응용되고 있다 다이아몬드를 미세한 입자로 하여 결합제로써 결합시킨 숫돌 많은 금속제 본체의 외주(外周) 또는 외주의 측면에 적당한 두께로 금속결합 · 수지상결합(resinoid bond) 등으로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 있었다.또 영국은 그리니치 천문대가 오래전부터 자오선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진
행했다고 각국의 대표들을 설득했다. 당시 ‘해가 지지 않던 나라’였던 영국의 막강한 힘도 본초자오선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배경이 된 셈이다 ... ...
원하는 생물체 설계하는 바이오캐드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융합된 퓨전생물학연구팀은 바이오캐드를 사용해서 삼성병원과 함께 암 연구를
진
행 중이며 신경회로를 분석하는 ‘사이버네틱스’를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교수가 속한 바이오시스템학과는 생물, 전자, 기계, 컴퓨터를 융합한 학과다. 이 교수는 “미래에 국가경쟁력을 가지려면 최고 ... ...
이전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