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4. 5감통신의 한계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화장 상태까지 섬세하게 보여주는 디지털 TV는 100%예약 상태이며, 지금의 구리망보다 10만
배
속도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고속도로도 장밋빛 청사진을 펼쳐 보이고 있다. 하드웨어만이 아니다. 신세대라 부르는 청소년들은 빠른 속도로 디지털의 세계에 몰입하고 있다. 그들이 창조해내는 '쓸만한'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약간 차이가 있다. 망원경으로 혜성의 꼬리같은 것을 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저
배
율의 쌍안경보다 오히려 못하기 때문이다. 그 대신에 망원경으로는 혜성의 핵 주변에서 분출되는 제트현상 등을 관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혜성의 머리부분 만을 확대해서 그 내부에서 이뤄지는 활발한 입자들의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러한 기술들이 서로
배
타적으로 성장하지 않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응집돼 몇
배
더 강력한 기술로 재탄생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자바가 톡톡히 해 나갈 것이다.용어설명자바: 선 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의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고 밝혔다.특히 "벨로루시에서는 갑상선암 발생이 체르노빌 사고 전보다 무려 2백85
배
나 늘어났으며, 사고 전 비옥했던 농토와 산림 지역이 앞으로 수세대 동안 살 수 없거나 이용할 수 없는 곳으로 변했다" 고 한다. 그 탓에 이재민이 된 40만명은 아직 귀향하지 못하고 있다.그러나 피해상황은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압력을 견뎌내기 위해 초고장력강이나 티탄합금을 사용해서 제작된다. 보통의 물보다 4천
배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지닌 심해저의 해수는 탐사장비들을 부식시키는 강한 적이 된다.이밖에도 심해저 탐사를 위해선 첨단 항법장치가 필요하다. 깊은 바닷속에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일은 마치 6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백만년 전부터 이어졌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마치 인간이 요구르트를 대대로 물려받아
배
양하는 것과 흡사하다.초창기의 잎꾼개미는 집 주변에 자라는 버섯을 이것 저것 길렀을지 모른다. 그러나 일단 가장 훌륭한 품종을 찾은 후에는 오로지 그것만을 전통적으로 경작해온 것이다. '신토불이' 도 ... ...
콜레라 전염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반응을 이용해 이 균의 존재를 밝혔다. 형광성 염색약이 처리된 항체를 플랑크톤
배
지에 섞어 관찰한 것.과학자들은 이 발견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1백년 간 사라진 콜레라가 1991년 1월 페루에서 갑자기 발생한 이유를 알아냈다. 바닷물 온도를 상승시키는 엘니뇨 현상 때문에 플랑크톤 수가 증가한 ... ...
4. 세제 세탁속에 숨어 있는 '보이지 않는 손'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폐기물 감소, 유통비용 절감 등 여러 장점이 있다.농축형 세제는 계면활성제의
배
합량을 기존보다 1.5
배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효소를 이용함으로써 세정력을 향상시킨다. 또 입자의 단위부피당 밀도를 높여 종전의 세제보다 비중을 증가시켰다. 이들 제품은 농축세제 고밀도세제 콤팩트세제 등으로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corer)라는 기구를 개발해냈다. 이것은 한면이 50cm 정도 되고 네모난 과자틀처럼 생겼다.
배
에서 이것을 줄에 매달아 내리면 일정한 부피의 해저 진흙을 정확하게 잘라낸다. 봉함판(seal)은 회수할 때 표본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상자 시료채취기는 심해연구에 혁신을 불러 일으켰다. 이를 이용해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촬영을 한 것이다. 별 표면에는 아주 밝은 반점이 나타나 있는데 그 크기는 지구 지름의 10
배
가 넘는다. 표면온도는 적어도 2천K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별 표면에서 우리가 전혀 모르는 물리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뜻한다. 이 반점은 거성들에게서 발견된 비방사상 진동(태양지진과 ... ...
이전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