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뉴스
"
보고
"(으)로 총 10,753건 검색되었습니다.
10만분의 1g만으로 물 1t에 포함된 염분 제거하는 '분자'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질소와 수소 결합으로 이뤄진 구조에 달린 수소가 염화물과 상호작용이 강한 것으로
보고
됐다. 하지만 연구팀은 탄소와 수소 결합으로 3차원 구조를 만들면 염화 이온을 중앙으로 강력하게 끌어들일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 분자의 유연성도 중심의 염화물이 빠져나가도 분자가 모양을 그대로 ... ...
전세계가 금지한 '프레온가스' 중국이 몰래 생산하고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적다. 결론적으로 이번에 발견된 중국 동부의 프레온가스 배출은 유엔 오존사무국에
보고
되지 않은 새로운 생산과 사용에 의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정했다. 박 교수는 “프레온가스의 대기 중 배출은 생산과정 뿐 아니라 단열재에 들어가는 과정에서도 많이 나타나므로 프레온가스 배출지가 ... ...
전자담배 유해성 논란 속 한국 상륙 앞둔 '쥴'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양산했다. 미국질병예방관리센터는 지난해 11월 20일 전자담배 청소년 사용실태에 대한
보고
서를 발표했다. 2017년에서 2018년 1년간 고등학생 전자담배 사용자가 78% 증가했으며 이는 쥴과 같은 전자담배가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당시 미국 보건당국은 쥴에 대한 온라인 판매와 마케팅을 ... ...
빅데이터·신약 R&D에 2025년까지 연 4조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앞서 이시종 충북도지사의 안내로 충북에서 생산된 바이오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살펴
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간 2조6000억원 수준에 그친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025년까지 연간 4조원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면역세포 활용 표적항암제 등 재생의료·바이오의약품 개발 △신약개발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⑧불편한 어깨와 손 동작 돕는 재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재활로봇 기자가 직접 어깨재활로봇 '라파엘스마트숄더'에 팔을 넣고 어깨 운동을 해
보고
있다. 국립재활원 연구팀은 박형순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2015년부터 3년간 편마비 환자를 위한 어깨 재활로봇 ‘라파엘스마트숄더’를 개발했다. 2017년 국내 재활로봇제조업체인 네오펙트와 함께 ... ...
"태반 줄기세포, 심장 조직 재생 확인"
연합뉴스
l
2019.05.22
사이나이 의대의 히나 초우드리 심장병학 교수팀은 20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의 연구
보고
서를 저널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연구 개요에 따르면 Cdx2 세포는 '초강력 줄기세포군(super-charged population of stem cells)'이라 할 만큼 놀라운 능력을 보였다. 이 ... ...
'진단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AI는 2D 영상을 쌓아올려 3차원(3D)화시켜 전체적인 폐의 모습을
보고
종양을 예측한다. 환자의 과거 CT 자료와 비교해 의심되는 폐 혹의 성장도 확인할 수 있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인다. 연구팀은 환자의 신상을 알 수 없도록 처리한 저선량 흉부 CT 영상 4만 5856개를 AI에게 ... ...
뇌 신경공학에도 '무어의 법칙'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초기에는 손쉽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 연구자들이 그림의 떡처럼
보고
만 있었다. 윤 교수팀은 광유전학용 탐침 개발에 뛰어들어 휘어지면서 정확한 연구 결과를 내놓는 탐침을 2008년 완성했다.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은 “전세계 뇌 연구실이 윤 교수가 ... ...
[2019 ICAN] 장소는 기억의 거점, 길을 기억하는 세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움직이면서 갖게 되는 기억”이라며 “따라서 장소가 이 기억의 가장 주요한 정보라고
보고
연구를 했다”고 말했다. 로열 연구원은 2014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주제인 해마 속 ‘장소 기억 세포’가 이 역할을 한다고 봤다. 장소세포는 ‘여기가 어디인지, 나는 이 공간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 ...
UNIST 개교 10주년, 시민과 함께 축제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강길부 국회의원 등 내빈들이 자리한 가운데 개교 이후 지난 10년간의 발자취를 되돌아
보고
미래를 다짐했다. 오후 7시부터는 울산시민과 BNK 경남은행이 함께하는 ‘KBS 열린음악회’가 마련됐다. 대학본부와 공학관 사이 광장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열린다. 정무영 UNIST 총장은 “2009년 ... ...
이전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