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뉴스
"
주목
"(으)로 총 7,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진딧물이 즙을 빨 때 식물 속에 침을 흘려 넣는다는 사실에
주목
했다. 침 속에 든 특정 단백질이 원인일 것이라 추측한 연구팀은 진딧물 10만 마리의 침을 채취해 그 안에 든 단백질을 분리해 분석했다. 그 결과 GroEL이라는 단백질이 식물의 방어기작을 발동시키는 원인이라는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실렸다. - 유럽우주국 제공 그런데 최근 또 다른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의 후보로
주목
받고 있다. 바로 ‘불임 뉴트리노(sterile neutrino)’다. ‘생물학도 아니고 무슨 불임?’ 이렇게 생각할 독자도 있을 텐데 아무튼 마땅한 번역어가 없다. 여기서 불임은 약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 ...
3D 프린터로 뼈, 연골, 지방까지 찍어내
과학동아
l
2014.06.02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성분비도 동일해 조직 재생을 위한 생체 적합성 재료로
주목
받고 있다. 실제로 연구진은 3D 세포 프린터에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잉크와 재생하려는 조직에 맞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같이 넣고 고분자 틀에 분사해 뼈와 연골, 지방을 입체적으로 찍어내는 데 ... ...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 그냥 있는 게 아니었네
과학동아
l
2014.06.02
배열 간격이 물고기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40μm(마이크로미터) 내외라는 사실에
주목
했다. 0.1g에서 100kg까지 물고기의 크기는 다양한 데 반해 새판의 간격은 일정했던 것. 연구팀은 물고기 아가미를 모사한 마이크로칩을 만들어 어떤 간격일 때 산소이동이 가장 활발한지를 직접 실험했다. 그 ... ...
'옥수수 박사'의 감동적인 고백
과학동아
l
2014.06.01
때문이다. 2006년 타원 은하 별 생성 과정을 밝힌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에
주목
받은 바 있는 저자는 “나는 하늘을 보며 거기에 새겨진 나를 본다. 우주를 연구하며 그 우주의 일부인 나를 알아 간다”고 고백하면서 우주 탄생의 신비와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전한다. 여기에 본인의 ... ...
세월호 침몰, 지하철 화재…재난 막는 기술은?
과학동아
l
2014.05.30
최근 세월호 참사와 잇따른 화재를 계기로 재난에 대응하는 과학기술의 역할이
주목
받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재해재난의 예방과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은?"을 주제로 제77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열었다. 제77회 한림원탁토론회의 모습. - ... ...
그래핀, 전자소자로 활용 '길' 열렸다
과학동아
l
2014.05.30
29일 밝혔다. 두께가 탄소 원자 크기에 불과한 그래핀은 차세대 전자소자 재료로
주목
받고 있지만 실제로 활용하려면 기판 위에 수 cm 넓이의 그래핀을 옮겨 담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서 그래핀이 찢어지거나 접히지 않도록 표면장력이 큰 물을 사용했는데, 이 경우 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 ...
‘서자(庶子)’ 위성의 환골탈태기
과학동아
l
2014.05.30
있다. 불규칙위성이 수적으로는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과학자들이 더
주목
하는 위성은 덩치가 큰 규칙위성들이다. 행성보다도 생명체가 탄생하기 더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4대 위성 가운데 하나인 ‘유로파’다. 유로파는 ... ...
“과학이 사회와 호흡하도록 과학계 문화를 바꿔야죠”
과학동아
l
2014.05.30
동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는 지구상의 생명체에 산소와 양분을 공급하는 식물에
주목
했다. “가을에 낙엽이 지고 들풀이 메말라 가는 장면을 보면서 그 속에 담긴 원리를 과학적으로 풀고 싶었습니다. 식물이 죽는 과정을 이해한다면 생산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거든요.” ... ...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박테리아를 기존의 생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려면 며칠이 걸려 불편을 겪는다는 점에
주목
하고 이 기술을 개발했다. 빛의 파장을 바꿔가며 박테리아를 관찰하면 박테리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 이 방법을 이용하면 단 몇 초 안에 박테리아의 종류를 ... ...
이전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