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각정보는 ‘초기 시각 신경망’을 거쳐 대뇌피질의 후두엽에 있는 ‘일차 시각 피질(V1·primary visual cortex)’로 전달된다. ‘대처 착시’ 실험마거릿 대처 총리의 사진을 위아래가 바뀌도록 뒤집었다(➊).이 상태에서 눈과 입을 원래 방향으로 돌려놓자 대부분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➋).얼굴의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국책 연구개발(R&D) 성공률은 98%다. 100건 중 98건의 연구가 성과를 냈다는 의미다. ‘너무 높은 성공률’도 문제다. 실적 압박에 결과가 잘 나올 법한 연구만 선택하거나, 충분히 숙성되기 전에 일단 논문부터 발표하고 보자는 경우들이 이 성공률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정상적인 연구 문화는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국내 SCI급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편당 피인용횟수는 4.86회로, 논문 수 상위 50개 국가 중 31위에 그쳤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는 손광효 박사는 “막스플랑크연구소에 있는 유명한 과학자들의 경우 한번도 이름을 들어본 적이 없는 저널에 논문을 내는 경우를 종종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수하고 흰가루병과 바이러스 등에 저항성이 높아 맥주보리로 인기가 많다. 수확량도 1헥타르(ha)기준 6.7t(톤)으로 다른 국산 보리보다 17% 가량 많다. 박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연구사는 “같은 품종의 맥주 보리라도 키우는 환경에 따라 맥주 제조에 중요한 특성들이 영향을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삽으로 퍼 체에 얹었다. 체를 흔들자 밑에 겹쳐 놓은 쟁반 위로 고운 흙만 떨어졌다. 11월 중순만 돼도 개미들이 월동 준비를 거의 마치기 때문에 먹이 활동을 잘 하지 않는다. 따라서 땅 위를 기어 다니는 개미를 보기가 쉽지 않다. 그럴 때 낙엽 부식층을 뒤지면 개미를 찾기가 수월하다. 습기가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90여 컷의 아기자기한 일러스트는 물리 법칙의 핵심을 명료하게 표현해 흥미를 더한다. 1권에는 고전역학을 담았다. 우리가 익히 아는 속도, 가속도, 운동, 관성의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 에너지보존법칙, 원심력, 구심력, 만유인력법칙, 중력 등을 소개한다. 2권은 열역학과 파동으로 구성했다. ... ...
-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자는 뭐하고 놀까요? 왠지 영화나 드라마 속 수학자를 떠올리면 쉬는 시간에도 수학 문제를 풀 것 같지만, 장난감 모으기나 놀이가 취미인 ... 도전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짰다는 점이에요. 이 이벤트를 계획한 스티븐 밀러 윌리엄대 수학과 교수는 2015년 1월 ‘레고 브릭(블록)의 수학’이라는 5주짜리 겨울학기 강의를 열었어요. 3주 동안 경우의 수를 따지는 조합론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쓰는 최적화 이론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10분 안에 슈퍼스타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다. 이 소식을 접한 기자는 지난 10월 프랑스 남부에 있는 몽펠리에를 찾았다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재능을 눈여겨 본 교수들의 추천으로, 1948년에 파리로 가서 수학 공부를 시작했다. 19살에 파리 수학계에 나타난 그로텐디크는 빈약한 교육을 받은 탓에 고등사범학교 대학원 과정이나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수준 높은 내용을 빠르게 습득해 곧 저명한 교수와 ... ...
이전670671672673674675676677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