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바로"(으)로 총 9,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초 휴대용 수력발전기~!! 를 소개합니다!기사 l20191021
- 가수 이선희 님을 닮았다고 하셔서 찾아봤더니 정말 닮으셨어요. 여러분도 찾아보세요~!!) 이노마드 우노를 만들게 되신 계기는 바로 이렇습니다. 대학생때 인도에 배낭여행을 떠나셨다가 한 집에 머무르게 되었는데 그집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서 양초를 켜고 지낸다고 하셨습니다. 카메라로 주변을 찍을 때 그 집에 아이가 관심을 보였다고 하셨습니다. ...
- 섭섭박사님과 함께한 이노마드 우노 만들기체험~기사 l20191017
- 수력발전기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이노마드 우노를 만들게 된 사유가 한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도 배낭 여행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박혜린 대표께서 인도로 배낭여행을 가게 되었는데 어느 날 홀어머니와 어린 아들이 사는 가정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그 마을은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양초를 켜놓고 밥을 먹는 마을 ...
- 1000만 시청자 {알라딘}! 그 포인트 비밀을 헤쳐보자!기사 l20191016
- 김은총 기자입니다. 오늘 또 새로운 영화를 가져왔는데요. 바로 {알라딘}입니다. 1000만 시청자 돌파한 알라딘! 그 비밀을 파헤쳐봅니다. 여러 가지 포인트가 있는데요. 그럼 첫 번째 포인트부터 찾아볼까요? 포인트 #1! 좀도둑 알라딘의 험난한 램프 얻기 반려 원숭이 아부와 함께 탑 꼭대기의 사는 알라딘. 탑 꼭대기는 사방이 뚫려있어 ...
- 아이고 미치겠다포스팅 l20191016
- 혼신을 다해서 기사썼더니 바로 페이지 2로 밀렸따.... 페이지 2는 아무도 안 보는데.... 아놔 진짜 ...
- 1빠,2빠 진실포스팅 l20191015
- 그거 주원이가 일본에서 시체 세던 단위라고 하던데 '빠'라는 표현이 양사인것도 맞고 일본에서 쓰던 단어도 맞지만, 일본 야구(NPB)에서 타자 타순 세는 단위가 바로 '빠' 입니다. 1번타자=1빠, 2번타자=2빠,이렇게요. 그래서 제가 4빠를 선호하는겁니다...ㅎ (오늘저녁 할게 없어서 어과동 ㅎ) ...
- 공룡에 대해 알아 볼까요?기사 l20191015
- 하지만, 방귀를 뀌는 건 소화가 잘됩니다. 나뭇잎을 씹지도 않고 삼키는 플라테오 사우르스가 방귀를 뀌어도 소화가 잘되는 이유는, 바로 이것입니다. 초식공룡은 음식물을 먹을 때 돌을 씹고 삼키는데, 돌들이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주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유오플로 케팔루스입니다. 유오플로 케팔루스는 꼬리에 혹이 달렸습니다. 그 혹은 유오플로케팔루 ...
- 참가후기!기사 l20191014
- 양이죠. 강연이 끝난 뒤, 이제 기다리고 기다리던 전력 확인 시간입니다! 친절하시게도, 이노마드 분들이 미리 수거를 해 주셔서 바로 테스트를 해 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배터리로 휴대폰의 충전이 가능한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생각보다 빨리 됩니다. 대표님 말에 따르면, 배터리가 완충 될 시 휴대폰 1개에서 1/5개정도 충전시킬 수 ...
- 도전! 캐나다 탐험대 4기사 l20191014
- 캐나다 마지막날 : 즐거웠던 캐나다야 나중에 다시 보자! 오늘은 마지막으로 오로라를 보는 날이다. 새벽에 오로라관측이 끝나고 바로 공항으로 출발해야 하기에 시간이 많이 없었다. 가이드님께서 마지막날이고 힘든 일정이 될 것 같으니 오늘은 낮 동안 정말 푹 자야 한다고 했다. 6시간의 긴 수면에 취했다. 그리고 밤 11시 30분 다시 오로라 ...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장단점을 알아봐요!!기사 l20191013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의 정서아 기자입니다. 어른들은 주로 아이들이 핸드폰을 많이 보거나 SNS(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너무 많이 할 때 잔소리를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SNS의 좋은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찍어 SNS에 자랑하기 위해 위험하고 힘든 사진을 찍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것을 찍다가 죽거나 다치는 사람들이 늘어 ...
- 도전! 캐나다 탐험대 3기사 l20191013
- 모닥불까지 켜니 조금 전 무서움이 사라졌다. 오늘은 날씨가 맑은 날이어서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없었다. 영하가 되는 추위에도 바로 카메라를 설치하고 오로라를 찍기 위한 설정을 맞추었다. 오로라가 많이 보이는 곳을 바라보며 사진을 탁탁 찍었다. 오로라는 빛을 다 받아서 찍어야 예쁘게 나오고 1장을 찍는데만 40초에서 60초정도 걸린다고 했다. 은 ...
이전670671672673674675676677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