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한눈에 보는 한강의 다리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입구 개천 위에는 서울 지방문화재 제 18호인 수표교가 있다. 원래는 청계천 2가에 있었으
나
1959년 청계천 복구공사 때 이 곳으로 이전해 복원한 것이다. 이는 조선조 초기 세종 때 만들어진 유서깊은 다리이다. 지금 다리 서쪽에 서 있는 수표석은 10척 높이의 장석을, 석수들에게 네모꼴로 다듬게 한 ... ...
명암 엇갈린 두 수상자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있어서 그 생산원’이었다.모교에 금의환향노벨상을 수상하기 이전인 1919년 이미 캐
나
다 왕립학사회 회원이 된 맥클리어드는 노벨상을 받은 뒤로 더욱 많은 영광을 누렸다. 1923년 영국학사원 회원, 1930년 런던왕립의사회 특별회원, 1932년 에딘버런 왕립학사원 특별회원으로 활동했다. 또 ... ...
번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전선을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7. 번개가 칠 때 전화 통화를 하고 있거
나
샤워기로 목욕을 하면 번개를 유도할 수도 있다.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세계의 어느 누구보다 벼락을 많이 맞은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바로 버지니아주에 살았던 로이 설리번이라는 공원 순찰대원. ... ...
1. 과학이 제시한 16강 비책 5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있기 때문에 파워슈팅이라도 코스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그러
나
아무리 파워슈팅에 코스까지 고려하는 슛을 하더라도 페널티킥을 막아내는 해답은 의외로 가까운 데 있다. 먼저 골키퍼의 방어반경을 살펴보자. 선 채로 양발을 벌리면 신체가 차지하는 폭이 90cm 정도다. 여기에 ... ...
이색적 만남 토성과 달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우리
나
라의 천문인구가 계속해서 늘고 관심 영역도 넓어지고 있는 증거라고 반겼다. 그러
나
예년보다 많은 응모편수에 수준도 한층 높아져 예년에는 입상권에 들 작품들이 다수 탈락하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이번 심사에서는 특히 고가장비가 필요하고 난이도를 요구하는 작품에서는 좀더 ... ...
물질구조 해명한 노벨2관왕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해결 방법을 "가정을 이용해 진실을 밝힌다"는 의미에서 '확률론적' 방법이라고 불렀으
나
, 때로는 그의 주장이 너무 자신의 영감에만 의존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다양한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쌓았던 천재적인 과학자 폴링이었지만 말년에는 자신만의 아집에 빠져버리고 말았다. 그는 ... ...
주방속의 과학실험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1. 돌아온 은수저녹슨 은수저를 알루미늄 포일의 전자를 이용해 되살리자. 마카로니에 이산화탄소 낙하산을 달아 물 위에 띄워보자. 마법의 손가락으로 파우더의 ... 물론 세제의 사용은 비밀.3. 베이비 파우더는 실험에서 봤듯이 물과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땀띠가
나
는 곳에 발라준다 ... ...
평화를 향한 과학자의 몸짓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어려움들을 견뎌냈다. 폴링은 “내가 힘들고 포기하고 싶을 때
나
를 지탱해준 것은
나
를 존경의 눈길로 보던 아내였다”며 자신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그의 아내를 꼽았다. 그에게 아내인 아바 폴링은 자신의 내조자이자 평화운동의 실질적인 동료였던 것이다 ... ...
별은 왜 반짝일까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젓가락으로 유리잔의 물을 살며시 저으면서 유리잔 바닥으로 새
나
오는 빛을 관찰한다. 물을 젓지 않을 때와 비교해본다.확인하기: 유리잔의 물이 잔잔할 때 잔 바닥의 구멍을 통해 보이는 불빛은 흐트러짐 없이 안정돼 있지만, 물을 저어 흔들면 불빛의 모습은 반짝이게 된다. ... ...
인간과 동물 어떻게 대화하
나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고통보다는 즐거움을 더 좋아한다. 비록 사람이 구사하는 언어를 통해 이들과 대화를
나
눌 수는 없는 일이지만, 고등동물인 인간이 동물의 처지를 이해하고 그 수준에 맞추어준다면 양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질 지도 모르는 일이다. 동물을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