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여름에 쓰는 부채에 검은색을 칠해도 좋다.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 적당한
크기
로 제작하면 된다.■ 성도촬영계획을 세우거나 사진의 구도를 정할때 쓴다.■ 촬영 기록용지촬영데이터의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촬영 날짜와 시간의 기록에서부터 안시등급, 대략적인 별의 위치(적경 적위 ... ...
윈도우와의 메모리 속도 전쟁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실행 중일 때 하드디스크에 만들었다가 윈도우가 종료할 때 삭제되며 필요에 따라
크기
가 늘어나기도 하고 줄어들기도 한다. 영구교체파일은 spart.par와 386spart.par 두개의 파일로 이루어진다. 이중 spart.par파일은 읽기전용 파일이며 윈도우 디렉토리에 위치한다. 386spart.par는 숨겨진 파일이며 가상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가졌고 그 이후에는 판구조운동이 거의 없었음을 보여주고 있다.그러나 금성은 지구와
크기
가 유사하기 때문에 비슷한 진화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성의 구조운동을 예측할 수 있는 표면의 지형에 관한 연구는 금성의 두꺼운 대기층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그러나 옛소련의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아니지만 덩치가 크고 굵직한 목을 가진 동물은 초저주파 음파를 소지할 것이다. 목의
크기
는 초저주파 음파발생의 중요한 요건. 크고 굵은 목이라야 그 속의 성대가 아주 느리게 진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몸집이 거대한 동물은 귀의 이관(耳管)도 길고 넓어서 초저주파의 긴 파장을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보인다. 맨눈으로도 소삼태성 근처에 희뿌연 것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 성운의
크기
는 달의 네배 정도이므로 대구경의 망원경에서 광시야 아이피스를 갖고 관측하게 되면 시야를 꽉 메운 성운의 모습이, 마치 살아있는 새가 우주를 향해 공간을 박차고 날아가는 느낌이다. 작은 망원경으로는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한다. 키가 1백65-1백75㎝, 얼굴길이와 너비는 어느 비율, 코의 높이는 얼마, 입의
크기
는 7-9㎝, 몸의 균형은··· 등등.그러나 이러한 모든 조건을 입력했다고 해도 기계가 뽑은 미인은 인간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미인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조건은 완벽하게 갖추었다고 할지 라도 ... ...
안개 왜 생기고 건강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응결해 공기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작은 물방울이다. 쾰러에 의하면 안개의 입자
크기
는 5~70㎛로 평균 17.6㎛가 된다. 이 작은 물방울에서는 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이 동일하게 산란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안개는 흰색이나 연기 또는 먼지와 혼합된 경우 혼탁한 황색이나 회색으로 보인다(이러한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크기
의 배수로 흔히 표현됐으므로 태양과 달의 실제
크기
를 알기 위해서는 지구의 실제
크기
를 알 필요가 있었다. 이런 측정은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장이었던 에라토스테네스(Erattosthenes, 192-84 BC)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 됐다. 그는 하지날 시에네에서는 태양이 바로 머리 위에 있지만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아주 무거운 별은 중력붕괴 때 중성자마저 깨어지면서 초고밀도의 물질을 이루어 각설탕
크기
의 질량이 수백억t에 이른다. 이 경우에는 빛마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검은구멍(블랙홀)이 형성된다. 이것의 질량은 대체로 태양의 3배-수십배이며 반지름은 ㎞단위로 질량의 3배쯤 된다. 예를 들어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눈으로 보일 정도의 큰 산개성단부터 고배율에서만 멋지게 볼 수 있는 산개성단까지 그
크기
가 다양하지만 대체로 관측하기가 쉬운 대상들이고 기하학적인 모양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집중적으로 관측해 볼만한 대상이다. 다만 관측자 자신이 그때 그때에 따라 적당한 배율을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