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구조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이 스카하라의 생각이다. 이렇게 지금은 많은 부문의
학자
들이 '기억'으로 몰려들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기억구조를 풀어헤치는 흥미도 누리면서 그것을 계기로 인간의 정신, 마음의 불가사의에 손을 대보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 ...
국내외 한국 과학기술자 학술회의 추계 웍샵 개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주최로 열린다. 저명한 외국의 한국과학기술자를 초빙하여 첨단과학기술의 습득과 국내
학자
와의 정보교환을 주목적으로 하는 이번 웍샵은 신소재, 반도체 및 산업기반기술의 3개 분과로 나뉘어 진행된다. 국외 초청연사는 분과당 4명씩 총 12명이다. 인하대학에서 열리는 신소재 분과는 정밀요업 ... ...
암의 계몽, 조기진단 절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커다란 기대감을 갖게도 한다. 마지막으로 원자력 병원장으로서 그리고 암을 연구하는
학자
로서 암때문에 절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한마디 해달라고 부탁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암환자에게 사실대로 얘기해주지 않고 쉬쉬 하는 게 보통입니다만, 그보다는 당사자에게 알려주는게 바람직합니다. ... ...
파스퇴르 종양바이러스 연구팀장 장셰르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방문은 이번이 처음이나 닥터리(고려대 李鎬汪교수를 일컬음)등 훌륭한 바이러스 관계
학자
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AIDS가 큰 사회문제로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항상 이 병의 예방에 신경을 써야할 것입니다 ... ...
환경감시의 첨병 20년 연세대 환경공해 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상상만 해도 끔찍합니다" 정교수는 이런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환경오염 문제를 다루는
학자
들은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달라진 행정당국의 태도 그러나 80년대에 와서는 환경오염에 관련되는 어떤 문제를 내놓으면 부인하는 것은 여전하지만 몇달 안에 사실을 인정하고 그 대책을 세우게 ... ...
IQ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것도 미리 지능이 어떤 것이라는 정의를 내리고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원래 심리
학자
가 만드는 테스트는 일상생활과는 별관계가 없는 문제도 많다. 지금 흔히 통용되고 있는 IQ테스트는 언어능력이나 숫자 내지 기호 조작력(수학적인 것)을 지능의 주요 요소로 보고 있다. 이것은 학교교육에서 ... ...
첨단산업시대의 직업 미래를 알아야 성공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다음은 사회의 변천에 따른 직업성쇠의 전망. 미국의 현실을 바탕으로 저널리스트 '월코미르'가 인터뷰를 통해 작성한 리포트. 우리의 현실과는 거리 ... 수도 있을 수도 있다. 그럴 때 도움을 주는 것이 또 하나의 전문가… 그렇다. 컴퓨터 전문
학자
"라고 아서 D. 리틀사의 한 기사는 말한다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공업지역의 공기에 또 다시 오존이 증가하는 것을 뜻한다.이 오존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학자
중 한 사람은 다음과 같이 비판적으로 말하고 있다."상부성층권에서의 오존상실, 대류권에서의 증가, 앞으로 50년간의 기상변화 이런 사실 앞에서 나는 종종 동료들의 측정값, 모델계산 등이 틀렸으면 하고 ... ...
음속의 수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기재되어 있고 물리학 외에 음향학 항공공학 등의 계산에 폭넓게 쓰이고 있다. 음속이 이
학자
의 주장대로 수정된다고 하면 여러 방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음속을 재계측하여 제시한 사람은 캐나다 공업기술원 고급연구원 '조지 원' 박사다. 음향학연구와 관련하여 마이크의 감도를 극도로 ... ...
물속 물질의 원자구조 최초로 사진 찍어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끼쳐 현미경으로 마른 물체밖에 관찰할수없었다. 이번의 성공으로
학자
들은 앞으로 생물
학자
들이 살아있는 세포의 막에있는 수용체(리셉터)와 구멍(채널, 孔)을 볼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