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40년 전인 1967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
된 3쪽짜리 논문이다.‘경입자 모형’(A Model of Leptons)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 논문은 지금까지 약 6300회 인용됐으며,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Standard Model)을 처음으로 제시한 논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
힘들지만 즐거운 아이디어 발전소!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원리를 융합한 아이디어였다. 이 팀은 ‘소리에너지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는
발표
로 마지막날 ‘과학이론심화반’ 15팀 중 최우수상을 받았다.심사를 맡은 과학이론심화반 부장교사인 충남과학고 이희권 교사는 “SD워너비 팀은 기본적 원리에서 참신한 아이디어를 찾아 구체화시켰다”고 ... ...
로봇도 거짓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최근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 로봇이 다른 로봇을 속이는 것을 발견했다고
발표
했어요.이 로봇은 음식을 찾다가 발견하면 다른 로봇에게 색깔로‘음식’이라는 신호를 보내요. 그러면 가까이 있는 다른 로봇들이 그 신호를 보고 음식에 모여들죠. 그런데 연구팀이 로봇의 기능을 점점 높여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만든‘정부 간 기후변화위원회(IPCC)’는 기후 변화에 대한 보고서를 꾸준히
발표
하고 있으니 지구온난화의 위험에 늘 귀를 기울여야 한다.다음으로 전 세계가 힘을 모아 지구온난화를 막고 생물종을 보호해야 한다. 우선 1997년 여러 나라가 약속한 교토 의정서대로 선진국들부터 2012년까지 공장과 ... ...
킁킁~ 향기에 취하다 Part3 -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예측 보고서‘IT예측 2020’에서 2015년에는 인터넷으로 향기를 전달할 수 있을 거라고
발표
했다. 정말 8년 뒤에는 떨어져 있는 친구와 컴퓨터 모니터를 보면서 이런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을까?컴퓨터나 휴대전화에서 보고 듣는 기술은 놀랍도록 빠르게 발전했다. 이제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도 끊김 ... ...
적도 부근에 살던 거대 펭귄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동했기 때문에 따뜻한 지역에서도 펭귄 화석이 발견된다고 생각했다”며 “이번에
발표
된 화석은 펭귄이 빙하기 이전부터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방사능에서 살아남으려 화려한 깃털 색 포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피해를 줄이기 위해 깃털 색을 포기한다는 연구결과를 영국 ‘응용생태학지’ 7월호에
발표
했다.묄러 박사팀은 체르노빌 지역에서 57종 1570마리의 새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체르노빌 사고가 터져 방사능이 많은 지역에서부터 방사능이 적은 먼 곳까지 총 254곳을 조사해 방사능에 따라 새의 깃털 색이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磁氣力線束)이 변할 때 흐르는 유도전류는 그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고
발표
했다 즉, 자기력 선속이 감소할 때는 이 감소를 보충하는 자기력선속을 만드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도선의 상대적 운동으로 기전력을 만드는 경우에도 운동을 자기력선속의 변화로 치환하면 같아지고,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세계적 권위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나노막대 생성과 관련한 논문을
발표
해 지금까지 수백 건의 인용 횟수를 기록했다. 10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지금까지 5편이 넘고, 한 논문은 2005년에는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제공하는 미국과학정보연구소(ISI)가 선정한 ‘주목되는 논문’으로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오하이오주립대 의대 퍼다우스 대버 교수가 2005년 4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적당한 스트레스는 백혈구의 숫자를 늘려 면역 체계를 강화한다. 다만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 호르몬이 백혈구를 만드는 림프구의 분비를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떨어뜨린다 ... ...
이전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