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많은 발열 의류는 얼마나 따뜻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단점이 있다.반면 광발열섬유는 빛을 흡수해 열 형태로 발산하는 섬유다. 일본에서 개발된 코어브리드-B 섬유가 대표적이다. 섬유의 중앙에 있는 발열입자가 800~1100nm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주로 흡수해 열을 낸다. 몸에서 나오는 수증기가 아닌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바깥에 ... ...
- 용의자 X의 수학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동안 힐버트의 문제는 과학과 수학의 획기적인 발전을이끌었다. 지금까지 23개 문제 중 18개가 해결됐다.이후 수학 난제를 발표하는 일이 종종 있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클레이 새천년 문제(Clay Millenium problem)’일 것이다. 2000년 5월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는 각각 100만 달러가 걸린 7가지 수학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그 수많은 학과들을 지면에서 일일이 소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관심 있는 학과 몇 개를 정리해 인터넷 검색을 하고 본인이 원하는 학과가 어떤 계열인지 확인하면 계열을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계열을 정해보자!자, 이제 ‘과연 나는 어떤 계열을 선택해야 할까’가 문제일 것입니다. ...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를 샅샅이 뒤지고, 인터넷의 외국자료를 번역해 자료를 모아 개념과 이론을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모델을 설계했다.“줄의 길이를 계산할 때 ÷와 ×를 잘못 써서 결과가 33m로 나온 거예요. 모두 ‘멘붕’에 빠졌죠.” 진은규 학생이 말한 ‘÷, × 사건’ 말고도 11시간 동안 ... ...
- 달걀의 누명을 벗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살다살다 달걀과 대화하는 날이 올 줄이야…. 너희 진짜 달걀 맞니?그럼요. 닭이 낳은 알, 달걀이 맞습니다~! 닭의 ‘난자’이기도 하고 ... 지나치게 섭취할 위험도 있어요. 비만일 경우 하루 한두 개, 건강한 사람은 하루 세 개 정도가 좋아요. 닥터 그랜마도 편식 그만하고 골고루 좀 드세요 ...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3년 02호
- n이 홀수일 때 띠의 개수는 1개지만 길이는 2배가 된다. 반면 짝수이면 띠의 개수는 2개이고 길이는 그대로다.또한 뫼비우스 띠의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어붙이면, 보자기를 대각선으로 집어서 묶은 형태의 곡면이 생긴다. 이 곡면을 ‘사영평면’이라고 하는데, 어떤 한 지점에서 ...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타 있었다.“엥? 너도 탔어?”“서…, 설마 이거 시간 여행 장치야?”폴리스는 고개를 저으며 한숨을 푹 내쉬었다.“아이구. 객식구가 하나 더 늘었네.”여자아이는 울상인 표정으로 큰소리를 쳤다.“내려 줘! 내려 줘!”“늦었어. 이미 우주선이 출발했다고. 그리고 한동안 네가 있던 곳은 중력 역전 ... ...
- 내 마음이 보이니? 여론조사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미래를 알고자 하는 욕구가 있어요.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출구조사의 결과를 참고로 개표 진행 과정을 스포츠 경기처럼 즐기며 보죠.2012년 대통령 선거의 SBS, KBS, MBC 방송 3사 출구조사는 전국 360개 투표소에서 8만 6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어요. 투표자를 6명 단위로 끊어서 차례로 나오는 6명은 ...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된다. SF나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만 볼 수 있는 장면이 현실이 될 것이다. 정찰용으로 개발된 항공기가 공격용으로 확대된 것처럼, 대형·초소형 무인기의 변신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글로벌호크와 같은 대형 고고도 무인기를 만들 수준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초소형 무인기 경쟁력은 상당히 앞서 ...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것이다.로드 교수는 “유전자의 차이가 아니라, 유전자가 발현하는 시기의 차이가 개와 늑대의 차이를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행동생물학’ 2월호에 실렸다 ... ...
이전6736746756766776786796806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