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뉴스
"
가장
"(으)로 총 16,467건 검색되었습니다.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과 크고 작은 분쟁이 이뤄지고 있다. 생명윤리 측면에서 최근
가장
뜨거웠던 논란은 인간 배아의 유전자를 교정해 이른바 ‘맞춤형 아기’를 탄생시킨 중국 허젠쿠이 남방과학기술대 교수 논란이다. 허젠쿠이 교수는 2018년 에이즈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지닌 쌍둥이 아기를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크리스퍼는 최근 생명과학계에서
가장
‘핫’한 기술로 꼽힌다. 질병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잘라 없애거나 회복시킬 수 있어 다양한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기존에도 유사한 기술이 있었지만 수백 배 이상 정밀하고 사용도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구성하는 단백질을 새롭게 바꿔 바이러스 진단 도구로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캐스나인(Cas9) 단백질 대신 캐스12a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는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새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6번째와 7번째 여성 화학상 수상자 됐다. 위원회는 "두 사람은 유전자 교정 기술의
가장
날카로운 도구 중 하나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발굴했다"며 "이들 덕분에 과학자들이 동식물과 미생물의 DNA를 매우 정교하게 바꿀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또 위원회 측은 "생명과학에 혁명적 영향을 ... ...
노벨화학상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부위에 원하는 DNA 시퀀서를 추가하면 유전자 교정이 완료된다. 크리스퍼-캐스9의
가장
큰 장점은 DNA에서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잘라내는 능력이다. 다만 DNA 시퀀스를 별도로 넣어 교정한 크리스퍼-캐스9의 유전자 교정 성공률은 지금까지 10% 아래여서 사실상 유전자 치료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 ...
1, 2세대 징크핑거·탈렌 이어 3세대 크리스퍼 Cas9 유전자가위...
가장
혁신적인 생명공학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이 등장하면서 생명공학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로 꼽힌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과 식물의 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DNA를 자르고 편집하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두고 일각에선 유전자로 차별받는 사회나 맞춤형 아기의 탄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두 사람의 공로로 개발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지금까지 개발된 유전자 연구 도구 중
가장
정확하고 사용하기 쉽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생명 과학의 지형을 급격히 바꿨다. 과학자들은 이 기술을 이용해 염기 하나를 바꾸는 방식으로 아널드 슈워제네거처럼 근육이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분해능은 신호 측정 방법 또는 장치의 한계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구별할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신호의 차이를 말한다. 분해능이 좋을수록 정밀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김정원 교수는 레이저에서 발생한 빛의 규칙적인 파동(펄스)과 광다이오드로 생성된 전류의 파동 사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근원이 초대질량 블랙홀이라고 예상한다. 때문에 이 활동은하핵은 지금도 천문학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분야 중 하나다. 놀랍게도 우리은하의 중심에도 약한 활동은하핵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은하의 중심에도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을까는 천문물리학자들의 오랜 연구대상이었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감염 검사, 이제 집에서 한다
2020.10.07
9 감염 여부를 10분 이내 판별할 수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빠른 진단키트의 검사시간은 대략 30분 내외로 알려져 있다. 이번 테스트기 개발은 이 대학 의학과 앤드루와 페기체른 교수와 웨이 가오 교수가 공동으로 이끌었다. 가오 교수는 앞서 ... ...
이전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