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08
늦잠에서 깨어 눈을 뜨자마자 텔레비전부터 켠다. 허기를 달래기 위해 라면을 끓여먹고 나서 진공청소기로 집안 구석구석을 청소한다. 커피를 한잔 마시면서 컴퓨터를 켜고 e ... 때문에 진공펌프가 갖춰야 할 조건도 훨씬 다양해졌다. 새로운 진공장비가 끊임없이
개
발되고 있는 이유다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08
깨어나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한편 냉동인간은 기술
개
발과는 별
개
로 윤리적 반발도 불러오리라 예상된다. 냉동시킨 사람이 나중에 살아난 경우 친인척 사이에 연배 혼란이 생길 수 있고, 또 설령 깨어난들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이 정립되기 곤란하다는 것이다. 특히 뇌만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08
이며 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극저온 냉동기의
개
발과 발달로 인해, 지금은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액체질소나 액체헬륨의 온도를 생성할 수 있게 됐다.오늘날 아무리 더운 날에도 영하의 온도를 경험하는 일은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즉 77 K, 영하 1백9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08
암컷이 다시 생리를 시작할 때까지 약 25
개
월이 걸린다. 하지만 새끼를 죽이면 암컷은 약 9
개
월 후 다시 수컷과 교미해 임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하렘은 암컷이 자신의 새끼를 생산할 수 있는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다. 또 수컷은 새끼를 낳을 수 있는 기간이 아주 짧다. 따라서 하렘 자리를 ... ...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08
알 수 없다. 즉 이 입자가 단단히 구속된, 다시 말해 하나의 주머니에 4
개
의 쿼크와 1
개
의 반쿼크가 잡혀있는 상태인지, 또는 중성자 주위에 K중간자가 붙잡혀있는 분자와 같은 상태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또한 이 입자가 이론에서 예측하는 펜타쿼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 입자의 다른 성질도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08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인데, 첫해에 10
개
의 작품을 6백여명이 관람한 것이 올해는 22
개
의 작품에 관람객이 2천명을 넘을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MEART가 그린 초상화들은 아트보트 전시회를 마치고나서 7월 17일 뉴욕의 또다른 갤러리에서 다시 전시됐을 정도였습니다.예전 우리 사회에서는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08
수 없다. 오랫동안 얼음골에 냉기가 유지되는 것이다. 실제로 변 교수는 얼음골의 3
개
월 간 기온변화 그래프에서 연속적으로 저온이 유지되는 것을 6차례 확인됐다. 1차 연속저온현상의 경우 78시간 동안 낮은 기온이 유지됐다. 반대로 이곳 산세는 상공을 지나는 더운 대기를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 ...
석유 탐사 장치가 암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0308
존재하는 물질이다. 파제트 교수가 만든 센서는 공기 분자 1조
개
중 에탄이 10-20
개
만 있어도 감지할 수 있다.파제트 교수는 석유를 탐사하는 지질학자들과 이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 오만의 사막지대를 구획별로 나눠 에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땅 밑에 석유가 묻혀 있다면 소량일지라도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08
태교음악을 들려주는 까닭이다. 최근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홈 시어터는 스피커를 여러
개
사용해 현장감을 높이는데, 그만큼 인간이 소리에 민감하기 때문이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다양한 소리로 가득 차있다. 자연이 들려주는 소리를 인간의 언어로는 표현하는 것은 사실 무모한 일이다. 예를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08
인체 곳곳에 남아 있는 이런 진화의 흔적들을 제시했다. 인간의 피부에는 땀샘이 2백만
개
정도 있다. 땀의 배출은 몸을 식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포유류에서 이 정도의 밀도로 땀샘이 있는 동물은 드물다.피부에 털이 없는 것도 이런 적응의 결과다. 포유류 중에서 인간만큼 ‘벌거벗은’ 종도 찾기 ... ...
이전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