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크고 넓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한국
화학
연구원 고성능
화학
소재연구그룹 김윤호 박사와 가재원 박사팀은 유기반도체가 가진 '액정성'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전하 이동을 기존보다 6배 이상 빠르게 한 고성능 유기트랜지스터 패턴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유기트랜지스터는 ... ...
기초과학연구원(IBS)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
반응 연구단 그룹리더 박정영 ...
2차 전지 성능 크게 개선한 과학자 인촌상 받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성SDI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과 금오공대와 한양대 응용
화학
과 교수를 거쳐 2009년 2월 UNIST로 옮겼다. 과학기술논문색인지수(SCI)급 국제 유명 저널에 논문 176편을 발표했다. 2012년에는 과학기술한림원으로부터 선도과학자로 선정됐다. 현재 UNIST 친환경에너지공학부 ... ...
KAIST/항우硏/생명硏/KISTEP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이봉기 △생명과학기술대학교학팀장 윤달수 △공과대학교학팀장 김기한△
화학
과행정팀장 정동렬 △생명과학과행정팀장 양인철 △교수학습기술팀장 양병우 △교수학습혁신팀장 조기순 △KAIST클리닉운영팀장 장준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급 △부원장 임철호 ▽소장급 ... ...
기후변화 얼마나 알고 있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9.01
찾아내고 해석했는지를 명확한 해설을 들은 바는 없다. 일본해양연구개발기구 생명지구
화학
연구소 연구원인 저자는 해양학자로서 기후변화를 최대한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한다. 바닷물 속 진흙과 남극, 그린란드, 고산지대의 얼음 속 동위원소를 통해 과거의 기온은 어떻게 알아내는지, ... ...
참치 잘못 먹었다가는 수은 중독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1
수은을 동물 몸에 흡수될 수 있는 메틸수은 형태로 변형시키고, 메틸수은은 다시 광
화학
반응에 의해 대부분 분해 된다. 실제로 사시사철 햇빛이 잘 드는 하와이 인근 북태평양 표층에서는 모노메틸수은이 80%까지 분해 된다는 사실도 이번에 확인됐다. 그러나 바다는 100m아래로만 내려가도 빛이 ... ...
[청년드림/도시락 토크 CEO와 점심을] 하성민 SK텔레콤 사장
동아일보
l
2013.08.30
박진수 LG
화학
사장입니다 다음 청년드림 도시락토크의 초청자는 한국의 대표
화학
업체 LG
화학
의 박진수 사장입니다. 박 사장과 청년드림센터는 지원자의 창의성과 도전정신 등을 고려해 7명의 점심 파트너를 선정한 뒤 9월 11일(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LG트윈타워에서 진행될 점심식사에 ... ...
지질연 신임원장에 김규한 이화여대 명예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8.29
연세대서 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나고야 대에서 동위원소 분야 연구로 지구
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이화여대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교수를 지내다 지난해 퇴직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부회장 및 회장을 역임했다. 정수장학회 혜택을 입은 학생으로 ... ...
펜으로 그리기만 하면 트랜지스터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 조길원 단장(포항공대
화학
공학과 교수)과 한밭대학교
화학
생명공학과 이화성 교수 연구진은 펜 형태의 노즐로 전자잉크를 정교하게 분사해 플라스틱 기판 위에 투명하고 유연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유기전자소자는 제작 ... ...
[이충환의 천기누설]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커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NGC 2014와 2020이 서로 다른 색깔을 띠는 데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주변 가스의
화학
적 조성이 다르고, 성운을 빛나게 만드는 별들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별들과 각 성운 사이의 거리도 한몫을 한다. 핑크색을 띤 NGC 2014는 주로 수소 가스로 이뤄져 있는 성운이다. 이곳에 있는 젊고 ... ...
이전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