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미생물 제거.➍ 복원된 대접. 세계적 탐험가, 최고의 보물선!어휴~! 난파선을 발굴하는
과정
이 쉽지 않지? 하지만 불굴의 의지와 열정으로 수중 발굴의 어려움을 극복한 탐험가들 덕분에 난파선이 세상으로 나올 수 있었어. 세계적인 탐험가와 유명한 난파선을 만나 보렴.세계적 탐험가자크 쿠스토(1 ... ...
돌보기를 황금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마을 곳곳에서 찾은 암석들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자세히 살펴볼까? 암석은 만들어지는
과정
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뉘지. 암석의 특징과 쓰임새도 달라져. 지금까지 찾은 암석들이 어디에 속할지 맞춰 봐.맏이, 마그마가 식은 화성암화성암은 뜨거운 마그마가 굳어서 만들어졌어. 땅 속 깊은 ...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방전현상이 구름과 땅 사이에서 일어날 때 벼락(낙뢰)이라고 하지요.”벼락이 떨어지는
과정
① 온도가 낮은 물방울이나 얼음이 많이 모여 음전하가 강해진 지역에는 음전하를 띤 전자들이 적란운의 아래쪽으로 움직인다.② 전자들이 지표 가까운 곳까지 내려오면 나무 같이 솟아 있는 물체에 ... ...
화산과 바다가 빚은 보물섬, 제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석순이 된다.세계자연유산으로초대합니다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은 까다로운 심사
과정
을 걸쳐 선정됩니다. 제주도도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되기까지 8년이 넘게 학술 조사를 했고 제주도민과 국민의 큰 노력이 있었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제주도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답니다. 앞으로 ... ...
착한 청소부가 될까 괴물이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인공 생명체라고 할 순 없잖아요?아직까지는 좀 무리겠지만 인공 생명체를 만들기 위한
과정
에 있다고 할 수 있죠. 만일 염색체를 인공적으로 만든다면 같은 방법으로 진짜인공 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과연 인간이 생명체를 창조할 수 있을지, 어디에 쓸지 궁금하군요.저를 만든 미국의 ... ...
‘티라노만 한 닭?’ 거대한 거대한 깃털공룡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화석이 발견되면서 이런 주장은 더욱 힘을 얻고 있죠. 다만 공룡이 새로 진화하는
과정
에서 몸집이 작아졌다고 주장했는데요, 이번 발견은 이런 이론을 뒤집는 결과랍니다. 과거에는 크고 작은 깃털공룡이 살았고 이들이 새로 진화한 것은 아닐까요 ... ...
초음파로 지문 감식하는 휴대용 기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지문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비슷한 지문을 찾으면 범인 검거는 시간문제. 그런데 이
과정
이 하루 종일 걸릴 때가 다반사다. 그 사이 범인이 도망쳐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지문 감식반은 가능한 한 빨리 지문을 채취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인도공대 사티시 두베이 교수팀은 초음파를 물체의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모유와 환상의 커플을 이뤄 아이들을 똑똑하게 해 주는 유전자가 발견됐다.영국 런던 킹스칼리지 테리 모피트 박사팀은 모유를 먹었을 때 특정 유전 ... 요인 모두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FADS2 유전자가 지능을 높이는
과정
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즉 한 계 속에서 형태적 기능적으로 특수화가 진행되어 특이성(特異性)이 확립되는
과정
이 분화이다 조직분화 기관분화 등도 마찬가지이며 이들 형태분화에 선행하는 것이 화학분화이다3차원 입체구조의 단백질 중 그 단백질의 고유 기능을 나타내는 특정 부위 활성부위는 각 단백질에서 아주 작은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30년 전만 해도 청계천에서 무얼 파는지 아는 게 힘이었습니다.”한국형 인간형로봇 ‘휴보’의 아버지인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휴 ... 텐데. 그래야 고대하던 박사학위를 거머쥘 뿐 아니라 우주에서 별이 탄생하고 죽어가는
과정
의 신비를 한꺼풀 벗기는데 일조할 수 있을 테니까 ... ...
이전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