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곧 허무함의 눈물을 흘려야 했다. 이번 대회의 상금은 인공지능 세계에서만 쓰이는
일
종의 특수 화폐였던 것이다.“인공지능 세계에서 이걸로 뭘 할 수 있나요?”“글쎄요…. 아바타 꾸미기를 평생 할 수 있겠네요!”“이 상황에 맞는 말은 ‘그림의 떡’, 띠리리리-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낮은 곳에서 떨어트리면 주스 방울이 염화칼슘수용액에 제대로 들어가지 못해 모양이
일
그러져 버린답니다. 주스 방울의 크기를 조절해 다양한 크기의 알갱이를 만들 수도 있어요.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분자요리에선 무슨 맛이 날까요?주스로 만들었으니, 달콤한 맛이 나지 않을까요?얼굴을 ... ...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같은 문제를 왜 출제했을까요? 영국의 유명한 헤드헌터인 페니 드 발크는 영국 데
일
리메
일
과 한 인터뷰에서 “기업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 같은 문제를 많이 출제한다”고 밝혔습니다.대부분 올바른 문제를 푸는 것에만 익숙해져 있어 당연히 문제에는 오류가 없다고 생각해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분석하거나 해석할 때 능력을 발휘합니다. 기발한 주제를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하는
일
은 수학 실력은 조금 부족하지만 개성이 뚜렷한 학생이 잘합니다. 통계포스터를 꾸미거나 신문 기사 작성, 토론하기는 그 분야에 재능이 있는 학생이 실력을 발휘하지요.Q 평가는 어떻게 합니까?자유학기제에 ... ...
[앱메이커] 만보기 앱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많이 걷지 않는 현대인들이 자신의 걸음 수를 알기 위해 만들었어요. 매
일
만 보 이상, 1주
일
에 5
일
이상 걸으면 비만 걱정도 줄고 건강해진다고 해요. 만보기는 우리가 걸을 때 몸의 흔들림을 감지해서 걸음걸이를 셉니다. 가속도 센서를이용하면 만보기 앱을 만들 수 있어요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수학 문제에는 새롭게 만든 스토리가 숨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의사소통이 더 활발히
일
어납니다.수학과 봉사활동을 하나로수학으로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학생들이 수학동아리를 중심으로 전국 단위 수학체험전에 참가하며 재능 기부 도우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수학 ... ...
[과학뉴스] e라이프(eLife)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아닌 실력 덕분이다. 특히 합리적이고 투명한 논문 심사과정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
반적으로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면 동료 과학자들로부터 내용 심사를 받는데(피어리뷰), 논문의 오류를 지적하는 경우도 많지만 무리한 요구로 길게 시간을 끄는 경우도 종종 있다. 비공개로 대화가 오가기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DeepText)’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페이스북 엔지니어인 아매드 압둘캐더 등은 6월 2
일
페이스북 엔지니어링 블로그(code.facebook.com)를 통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딥러닝은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지식을 배우는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 대량의 데이터에서 ... ...
[과학뉴스] 앙코르와트 인근서 지하도시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연구팀은 이것을12세기에 전성기를 이뤘던 도시로 추정했다. 에번스 박사는 6월 11
일
영국
일
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후기 앙코르제국의 수도로 보이는 이 도시를 연구하면 앙코르제국의 붕괴에 대해 더 많은 사실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사실은 AGN이 우주 초기에 더 흔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그 자체로 은하의 초기 단계
일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과연 초기 우주의 AGN은 오늘날 어떤 존재가 됐을까. 2파트에서 확인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 ...
이전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