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d라이브러리
"
측정기준
"(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01
현금카드 명함 소형계산기를 만들때에도 황금분할의 법칙을 자연스럽게 따르게 된다우리가 쓰고 있는 명함 현금카드 소형계산기 등은 조형적으로 균형미와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직사각형이다. 이 직사각형의 두 변을 자로 재어 그 비율을 구해보면 대략 1.6 또는 0.6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비율의 ... ...
지구의 나이까지 알아 맞힐 수 있는 절대연대 측정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301
지질작용으로 인해 태초의 암석은 대부분 사라지고 없다. 그러나 만일 태초의 암석이 발견된다면 지구의 나이는 물론 새로운 정보도 쉽게 밝혀질 것이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이런 질문은 하나님께 무례한 짓으로 여기던 18세기 이전부터 계속돼 왔다. 그렇지만 아직도 이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12
현대우주론의 대표주자는 당연히 대폭발이론이다. 그러나 이 이론이 우주의 생성을 설명하고 그 끝을 예견하는데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 현재 우주론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들, 앞으로 우주론에 도전하고 싶은 젊은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과연 무엇일까?우리가 사는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을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11
아침저녁으로 불어오는 찬바람이 이제 겨울이 가까워 졌음을 알리고 있다. 거리에 떨어지는 낙엽들은 한 해가 저물어가고 있음을 느끼게 하고 쓸쓸한 거리의 풍경처럼 밤하늘의 모습도 어둡기만 하다. 밤하늘을 보노라면 가을은 별들이 사색하는 침묵의 시간인 듯한 느낌이 든다.11월은 인류 역사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11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오존층이 점점 엷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남극 상공 등 도처에서 불길한 관측결과가 나타나고 있다.최근 외신은 남극 상공에 오존구멍이 점점 넓어져간다는 소식을 숨가쁘게 전하고 있다. 지난 9월23일 미국 인공위성이 관측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10
'빅뱅우주론'이 탄생해 많은 모순점을 극복하고 우주 생성의 표준모델로 자리잡기까지, 그중에서도 정상우주론의 도전을 물리치는 과정을 요약해 소개한다.우주에 시작이 있는가, 아니면 우주는 항상 존재해 왔는가.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이 질문을 철학자와 신학자들의 형이상학적 영역에 속하는 ... ...
2 해류·바람·환경오염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209
지구를 연구하기 위해 쏘아올린 원격탐사위성은 기상측정 지구표면탐지 대기연구 등을 수행한다.태초에 하나님이 지구를 창조하신 이래 인류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었던 민족은 없었다. 인류 기원 이래 인간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인간이 언제까지라도 이용할 수 있는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09
도시의 밤하늘 얼마나 오염됐을까? 5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11곳을 동시 관측해 그 결과를 비교했다. 현대인들, 특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별보는 일을 포기한 지 오래다. 하늘을 바라볼 여유도 없으며 어쩌다 밤하늘에 시선이 가도 두터운 먼지층으로 뒤덮인 희뿌연한 하늘만이 멀건히 모습을 드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8
린네는 지의류를 「식생의 초라한 쓰레기」라고 불렀지만 지의류의 선구적 역할을 알아차렸다.한줌 푸른 지의류(lichens)가 나의 집 근처 바위 뒤에서 자라고 있다. 나는 이곳을 지날 때마다 일종의 두렵고 놀라운 마음으로 그것을 바라본다. 왜냐하면 이 작은 식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온 것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08
페놀사건 이후 깨끗한 물을 먹어야겠다는 사람들의 열망은 오염된 강을 되살리는 쪽이 아니라 정수기나 생수를 찾는 방향으로 파행의 길을 걷고 있다. 국가정책도 상수원을 지키는 것보다 첨단 처리 기술을 도입하는 쪽에 비중을 두고 있다. 강물은 더러워도 당장 마시는 물은 깨끗하게 만들어 보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