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포그래픽] 아로마티카의 용기 개선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기업이라는 죄책감은 화장품을 만드는 기업인 아로마티카가 지속가능한 용기를
개발
하도록 이끌었다. 용기 개선 과정을 담당한 이석진 아로마티카 크리에이티브2팀 디자이너는 “지구에 이로운 일을 하고 싶다는 사명감이 있었다”며 “다 쓴 화장품 용기가 100% 다시 탄생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발견된 자원으로 우주에서 생활하고 활동하는 미래 우주비행사를 위한 식량 자원을
개발
해야 한다. 때문에 이 연구는 NASA의 장기 유인탐사 목표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
[논문탐독] 다양성과 혁신이 이끄는 도시의 진화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큰 도시들은 인근의 작은 도시들이 모여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그 작은 도시들이
개발
되며 성장합니다. 자연계에서도 프랙탈 구조가 성장할 때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작은 구조들이 성장해 나갑니다. 이런 특징 덕에 도시는 전형적인 프랙탈 구조를 가진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프랙탈은 도형의 ...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덕에 사람들이 전화로 대화하는 것은 일상이 됐다. 물론 휴대폰은 20세기 후반에야
개발
됐기에 아이폰을 들고 다니며 카톡은 못 했지만.소설의 주인공 하비 맥스웰은 뉴욕 증권사 브로커다. 매일 아침 산더미처럼 쏟아지는 전보(문서를 전달하는 통신수단)를 처리하며 제목처럼 바쁘게 살아간다. ... ...
[기획] 환경까지 생각하는 똑똑한 미래 선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자율운항 시험에 성공하며 자율운항
개발
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자율운항선박기술
개발
사업 통합사업단 최진 총괄사업관리팀장은 “자율운항이 선원들의 주야 교대근무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대폭 개선해 피로로 의한 인재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대수기하의 특이점 이론 분야를 공부를 하며, ‘거시적 구조에 있어서도 비슷한 이론을
개발
할 수 있지 않을까’ 짐작해왔는데, 리드 추측 얘기를 듣고 특이점 이론이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걸 간파했기 때문이다.“화성에서 생명체를 발견한 수준”현재까지 허 교수가 해결한 추측은 무려 1 ... ...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은 달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6월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하늘로 날았다. 누리호에 실린 위성은 궤도에 안착했고, 곧 교신에 성공했다. ... “누리호를 달 탐사에 쓰기에는 아직 성능이 부족하다”면서도 “더 큰 발사체를
개발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작다. 그러나 화합물반도체는 최첨단 반도체와 관련된 연구 분야인 만큼 관련 연구
개발
수요만큼은 잠재력이 높아질 전망이다.반도체 분야에서 일할 사람이라면 산업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현재 완전히 성장한 분야에서 일할 것인지, 향후 발전할 수도 있는 분야에서 일할지 선택해야 ... ...
[광고] MORRIS │ 마르지 않는 펜으로 그리는 친환경 세상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해결했다. 별도의 뚜껑을 만드는 대신 내부에서 자동으로 펜촉이 밀봉되는 방식을
개발
했다. 대신 볼펜처럼 펜 끝의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펜촉이 밀봉되도록 했다. 이제 더 이상 뚜껑을 잃어버려 펜이 말라버리는 일은 없지 않을까.모리스는 마르지 않는 펜을 알뜰살뜰히 다 쓴 ... ...
더 강해져 돌아온 코로나... 백신 플랫폼 기술 있었다면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의해 효과와 안전성에 차이가 있다. 새로운 항원에 대한 효과를 내는 백신을 빠르게
개발
하기 위해서는 같은 플랫폼을 공유하더라도 적용된 기술이 다른 여러 백신이 확보돼야 한다. BA.5처럼 새로운 변이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재설계에도 용이하다. 송대섭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앞으로 코로나1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