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볼
공로
공적
무
구
뽈
성공
d라이브러리
"
공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당연하다. 다만 들뜬 전자의 이동 과정이 지나치게 효율적이라는 것이 의문이다.전자를
공
이라고 생각해보자. 중심이 어딘지 알 길 없으니 전자는 여기저기 마구잡이로 부딪히며 이동하고 당연히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에너지 효율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 왜 그럴까? 플래밍 교수는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우리나라는 조 예선 3위로 16강에 진출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됐다. 하지만 축구
공
은 둥근 법! 우리나라 선수들이 승승장구할 수 있도록 목청껏 응원해 보자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Over’라는 종료 메시지가 뜹니다.나에게 맞는 소프트웨어 수업 & 역량 찾기 자료 제
공
삼성전자 사회봉사단소프트웨어 교육은 크게 네 가지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가장 첫 번째는 창의력이다. 가장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면 자신의 상상을 코딩으로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성
공
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분해능 형광현미경은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는 말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최첨단 과학 기술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참여했던 구글은 ‘스페이스 크래프트 포 올’이란 사이트를 만들어 ISEE-3호의 정보를
공
개했다. 화려한 3D 그래픽과 반응형 브라우저로 ISEE-3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7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친구를 이곳에서 직접 만나보자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가지를 얻을 수 있대! 자신감…, 협동심….골이 들어갔을 때의 상쾌함도 빠질 수 없지!
공
을 멋들어지게 드리블해서 골을 넣으니 국가대표 선수가 된 느낌이야~.친구들과 재미있게 축구 시합을 하면서 몸과 마음을 쑥쑥 키워야겠어!명예기자 : 원서진(서울 잠실초4), 이태윤(성남 서당초3 ... ...
스스로 목욕하는 똑똑한 자동차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머리카락 두께보다도 훨씬 작은 돌기들이 무수히 많이 나 있어, 물방울이 거의 온전한
공
모양으로 맺혀요. 즉 연잎이 물방울과 닿는 면적이 작아 젖지 않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나노페인트로 코팅한 자동차도 물이나 기름 같은 오염물질이 차에 달라붙지 않아 깨끗해요. 이 자동차 표면에 더러운 ... ...
[체험] 서울대 컴퓨터
공
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연구 덕분에 더욱 발전하고 있다. 모션캡처를 좀 더 보완해서 사람의 표정이나 눈동자, 모
공
등 사람의 섬세한 움직임까지 가상 캐릭터에 표현하는 기술인 ‘이모션캡처’가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가상의 캐릭터가 사람과 같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물론, 분위기와 스타일 등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차가운
공
기를 그대로 들이 마시면 폐에 너무 심한 충격이 오기 때문에 코가 마신
공
기를 머금어 따뜻하게 데우는 역할을 한다. 네안 데르탈인은 또 굵고 튼튼한 목을 지녔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들은 앞니를 도구로 이용했다. 예를 들어 가죽을 무두질할 때, 앞니를 앙다물고 당겨 가 죽을 부드럽게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퍼즐의 대가로 불리는 노부유키 요시가하라를 기리면서 퍼즐가들끼리 아이디어를
공
유하는 대회다. 안진후 학생은 올해 대회도 참가해 선외 가작(본상 외의 상)을 수상했다. 그가 밝히는 퍼즐의 묘미는 뭘까.“퍼즐을 푸는 동안은 마냥 즐거워요. 가장 희열을 느끼는 순간은 이른바 ‘아하!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