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건설
공법인
공익법인
공익사업회사
공군사관학교
건조
d라이브러리
"
공사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얽어맬 슈퍼자넷의 설치와 유지작업은 브리티시 텔레콤사의 책임하에 수행되고 있다(총
공사
비 1천8백만파운드).슈퍼자넷은 기존의 자넷(JANET, Joint Academic Networt)과 공존하게 되는데 올 3월까지는 먼저 6개소 (케임브리지대학 에딘버러대학 멘체스터대학 임페리얼대학 런던소재 유니버시티칼리지 ...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강하게 받았다는 점이다. 장교수의 선친(장병선씨)은 토목공학자로 저수지를 설계하고
공사
감독하는 일을 했다."늘 물리책을 소중히 여기고, 물리를 공부하려고 애쓰시는 모습을 어릴 때부터 봐 왔습니다. 내가 중학교에 진학하자 선친께서 물체의 자유낙하 문제를 하나 내시더니 풀어보라는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지난해 1백만드럼 규모가 완성됐고 현재 이를 3백만드럼 수준으로 확장하는
공사
가 한창이다. 또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분리해내는 핵재처리시설도 97년경 완성돼 99년부터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이들 시설이 완성되면 일본은 핵연료 농축에서 가공 연소 재처리 저장에 이르는 완결된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스키장
공사
가 벌어지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또 이의 자생지인 축령산 기슭은 산림욕
공사
로 인해 흔적조차 사라져 버렸습니다. 이처럼 날로 파괴돼 가는 자연을 보고 식물 표본채집도 자연파괴가 아닐까 싶어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기로 했습니다. 부득이 표본을 채집하더라도 뿌리만은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전시돼 있다.전기에너지관의 총예산은 약 3백억원으로 93년 1월 현재 80%의
공사
진척을 보이고 있다.전기에너지관이 주로 전기와 관련된 한정된 주제를 다루고 있다면 자원활용관은 보다 폭넓은 에너지 개념을 전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현재 우리나라에는 에너지관이라고 할 수 있는 전시관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있다. 항공기 사고현장 재현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블랙박스 정보를 직접 눈으로 본다항
공사
고의 원인을 추적할 때 핵심이 되는 장치는 블랙박스(flight data recorder)다. 그러나 이 블랙박스 내에 있는 정보를 누구나 쉽게 알아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캐나다 오타와에 위치한 국립연구위원회에서는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2년 말 현재 80% 이상의
공사
진척도를 보이고 있으며 5월까지 내부 전시물을 비롯한 모든
공사
를 완료할 예정이다. 인간과 통신 앞으로의 사회를 정보화사회라고 한다. 생산을 통한 재화의 가치 창조 이상으로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사회를 말한다. 정보화사회의 기반은 역시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으나, 이 정도 수준으로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없다. 현재 도로
공사
에서는 대전엑스포를 목표로 첨단 고속도로관제시스템을 서울과 대전 구간을 대상으로도 입할 예정이며 향후 전국의 고속도로에 이 시설을 확충할 계획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고속도로관제는 주로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1기를 도입, 내년에 대전에서 개최되는 93엑스포에 전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 또 가스
공사
에서도 미국의 2백KW짜리 연료전지를 도입할 예정이다.아무튼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국내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물론 아직은 기술 인력과 연구개발비 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하지만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노지카는 4년간의 타당성조사, 2년간의 내외부건축과 연시연출계획, 그리고 2년간의 건축
공사
등 8년여에 걸쳐 건립 되었다. 이 박물관은 연간 1백여만명의 입장객에게 해양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고 해양자원의 올바른 이용과 해양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며 해양문화와 과학공간으로서의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