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내
내륙
오지
내국
d라이브러리
"
내지
"(으)로 총 1,44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지리마 란드러'의 밀린 숙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살 수 있다는 것을 조사하기로 했다. 하지만 파리가 이곳 저곳에 숨어 있어서 쉽게 찾아
내지
못했다.‘어린이 과학동아’친구들의 세심한 관찰력이 필요할 때가 왔다. 지지리마 란드러의 방안을 잘 살펴보고 파리가 모두 몇 마리 숨어 있는지 알아맞혀 보자. mission 2 희한한박물관의 희한한 출구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요중 케톤체의 감소, 부신 피질 기능의 정상화, 파라아미노벤조산 아세틸화 능력의 상승
내지
정상화 등을 볼 수 있다조혈장기에 주는 영향이나 저혈당 증세가 나타날 염려가 없고 공복시나 야간의 저혈당 증세나 국소알레르기 등의 부작용도 없다 분자 내에 2개 이상 짝수개의 키랄(chiral)한 ... ...
웃음의 프리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역사를 추적했다.인류의 사촌격인 유인원은 숨을 헐떡일 때 단일음 ‘하’를 한번 밖에
내지
못하지만 인간은 ‘하-하-하’하고 웃는다. 미국 볼티모어대의 신경과학자 프로바인 박사는 “침팬지가 헐떡이며 내는 소리는 인류가 웃게 된 선행단계”라고 주장해왔다. 저바이스 교수팀은 더 나아가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추진한 것도 광물 개발에 일조했다.그러나 북한은 독자적으로 지하자원을 개발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만성적인 전력난과 낡을 대로 낡은 장비와 시설 때문이다. 광진공 관계자는 “북한의 주요 광산 설비는 1980년대 중반부터 개보수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극히 노후한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벨트의 천체(QBO)와 전혀 차이가 없었다. 결국 명왕성은 어쩌다 길을 잘못 들었던 혜성
내지
는 소행성이었던 셈이다. 태양계 형성의 비밀을 쥔 카이퍼 벨트1999년 국제천문연맹은 명왕성이 행성임을 거듭 선언했지만, 일부 천문학자들은 여전히 명왕성은 행성으로서 자격미달이라고 주장한다. 사실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양궁을 잘 하는 이유가 있을까. 같은 육상경기인데도 단거리에서는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는데 마라톤에서는 세계 대회에서 순위권에 드는 이유는 뭘까.인체의 구조와 형태는 유전에 의해 그 특징이 결정된다. 더욱이 외형을 결정짓는 유전자는 극히 수가 적기 때문에 특징이 없어지지 않고 잘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분자로 이루어진 무색 기체이다 닌히드린을 아미노산의 수용액에 가하면 청색
내지
보라색으로 변하는 발색반응(發色反應)닌히드린을 아미노산의 중성(中性) 용액에 가하면 아미노기의 작용에 의해 닌히드린 2분자가 축합하여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른 특유한 색을 나타낸다 1930~ 미국의 우주비행사 ... ...
[교과연계수업] 원심력과 구심력의 조화, 쇼트트랙!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넘어지거나 코너를 벗어나요. 그래서 보통 곡선에서 속도를 줄이고 직선에서 속도를
내지
요. 그런데 한국 선수들은 곡선을 잘 달리는 쇼트트랙 비법을 스피드스케이팅에 결합시켜 곡선에서도 빠르게 달리더라고요.한국 대표팀은 곡선을 돌 때 허리에 고무벨트를 걸고 사람이 바깥쪽에서 잡아 ... ...
말썽꾸러기 조카, '지지리마 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있었다. 섞여 있는 입장권 중에서 지지리마 란드러의 입장권은 어떤 것일까? 빨리 찾아
내지
못하면 아이들의 부모님에게 꾸중을 듣게 된다. 으이그~, 말썽꾸러기~! mission 2도대체 어디에 탄 거야?로보랜드로 들어간 지지리마 란드러는 본격적으로 사고를 치기 시작했다. 쓰레기통을 뒤엎고 풍선을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관측 장비와 시스템이 디지털화되고 관측소도 전국 75개 지역에 있기 때문에 전에 알아
내지
못하던 작은 지진도 정확하게 찾아 낼 수 있어요. 또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통해 지진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 덕분에 사람들의 관심도 커졌습니다.어과동만약 서울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