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 VS 지베안 드가 진짜 캠핑의 달인은 누구?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실험해 본 결과, 아무렇게나 채워 넣었을 때 구는 59%, 육면체의 경우 54%였으며 다른 도형들은 50%가 넘지 않았다.그렇다면 구를 어떻게 배열해야 가장 빽빽하게 배열할 수 있을까?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여러 개의 구를 가장 빽빽하게 배열하는 방법은 면심 입방 구조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17이 페르마 소수라는 점은가우스가 정17각형을 작도 가능한 도형이라고 증명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17의 매력은 또 없을까? 17 속에는 아직도 숨은 매력이 있을지 모른다. 10월엔 17의 매력을 발견하는 일에 매진해 보는 것은 어떨까 ...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통해 비춰진 물체는 앞뒤가 바뀐 셈이 된다. 반사는 회전, 대칭과 더불어 기하학에서 도형을 다루는 중요한성질이다.한편 거울 반사는 만화경과 같은 놀이를 넘어 예술에서 응용되고 있다. 형태나 색깔의 착시를 이용한 ‘옵티컬 아트’를 하는 예술가들은 작품에 거울을 종종 활용한다. 거울 반사로 ... ...
- 유클리드와 사랑에 빠진 실험 수학자, 조지 하트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정120포체는 꼭짓점 600개와 모서리 1200개, 정오각형 720개, 정십이면체 120개로 이루어진 도형이다.한편 ‘72 연필’은 인터넷에 ‘기하학 만렙’으로 화제가 됐던 작품으로, 72개의 연필로 이루어진 수학 구조물이다. 18개의 연필이 정육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위, 아래, 양쪽 대각선의 네 방향으로 ... ...
-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유니버스 글씨체는 총 59개의 구성원을 갖는 대형 가족이 됐다.*가독성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이 얼마나 쉽게 읽히는가의 정도를 뜻한다.수학의 원리를 담은 ‘벡터 폰트’ vs ‘비트맵 폰트’➊ 벡터 폰트 : 문자의 모양을 윤곽선의 방향과 길이로 기억한 글씨체다. 수학에서 방향과 길이를 담은 ...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내려면 괴짜 수학자들보다 한 발 앞서 비밀을 찾아내야겠지. 자, 출발!”문제 ❶ 입체도형을 예측하라!갈루마 저택을 떠난 지 한참 지났지만 아무도 말을 꺼내지 않았다. 말 많고 쾌활하던 폴이 조용하자 피타조차 묵묵히 걷기만 했다.“드리클류 형님의 집까지는 3일이면 간다네. 집에서 학교까지는 ... ...
- 올해 영재학교 수학문제 뭐가 나왔나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관계식 구하기 등 주로 이차식에 대한 중등 과정에서의 기본 개념을 묻는 문항, 주어진 도형의 둘레 길이를 대소 비교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 그리고 개방형 문제로는 참고자료를 주고 자연수, 정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등의 집합에 대해 어떤 특정한 수를 곱한 꼴들의 집합을 정의하고, 이러한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개스킷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폴로니우스가 발견한 원의 성질을 이용해 만든 도형이다. 아폴로니우스는 세 개의 원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 가운데 빈 공간에 작은 원 하나와 세 개의 원을 둘러싼 커다란 원 하나를 반드시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원리를 이용해 원을 그리면 아폴로니안 ... ...
- 9화 새로운 단서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사다리를 번갈아보며 말했다. 그러고 보니 지도에는 방금까지 있던 방에 그려져 있던 도형과 절벽, 주사위, 그리고 숫자들이 적혀 있었다.“사다리에 뭐라고 적혀 있어. ‘길이를 입력해 주세요. 길이는 단 한 번만 조절할 수 있다’?”문제 ❸ 미완성된 퍼즐을 완성하라!폴 일행과 러일로는 함께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나보다도 몰라. 누구 말이 맞는지, 우리 내기할래요? ‘설마 조선시대에는 도형 이름처럼 수 이름도 달랐던 건 아니겠지?’조선시대에는 1경(1016)이 1조현재 우리는 일, 십, 백, 천, 만 다음에 십만, 백만, 천만, 억이라고 한다. 같은 방법으로 세 자리를 더 건너뛰면 ‘조’라고 부른다. 이런 식으로 네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