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매운맛으로 따지자면 전 세계 100여 종 가운데 15등 안에도 들지 못한다. 청양고추도 마찬가지다. 이보다 캡사이신이 훨씬 풍부한 품종이 많기 때문이다. 2013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 1위는 ‘악령고추’라는 별명이 붙은 ‘부트 졸로키아’였다. 이 고추는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 ...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공과대학교 연구팀도 인도 음식 2500가지를 분석했습니다. 인도 음식도 동아시아 음식과 마찬가지로 재료들의 화학 성분 공유도가 낮았습니다. 인도도 동아시아 국가들처럼 요리에 향미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다는 것이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매스토랑, 수학 담긴 요리Part 1.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 가서 붙을 수 없고, 뼈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들에만 Sox9가 가서 붙을 수 있다고요. 마찬가지로 피부세포에서는 뼈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들이 꽁꽁 묶여 있어서 전사인자 Sox9가 가서 붙을 수 없고, 대신 모공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의 발현만 유도하게 되겠죠. 하나의 유전자로 두 마리의 토끼를 ... ...
- Part 2. 중금속, 발암물질이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빵이라도 어느 밀로 만들었는지 알 수 있고, 지층에 묻힌 화석의 나이도 가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석탄과 석유 등 연료에 따라, 또는 같은 종류의 연료라도 지역에 따라 탄소동위원소 비율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면 미세먼지의 출처를 밝혀낼 수 있다. 엄 환경연구사는 “현재 중국, 일본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건네는 활발한 성격이랍니다. 윌리엄슨 교수 역시 필즈상 0순위인 페터 숄체 교수와 마찬가지로 기조강연자로 브라질을 찾습니다. 2014년 필즈상 수상자 중 두 명이 그해 대회 기조강연자였습니다. 이번 기조강연자 중에 40세 이하는 숄체 교수와 윌리엄슨 교수 둘뿐인데요, 누구에게 좋은 소식이 ... ...
-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분석하는 ‘리소스 프로스펙터’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어요. 달의 극지방에도 수성과 마찬가지로 얼음이 있을 확률이 높거든요. 중국은 달의 남극이나 달 뒷면에 있는 ‘사우스 폴 에이켄’이라는 거대한 분화구를 샘플 채취 탐사지 후보군으로 정했어요. 이 분화구는 워낙 깊이 패어 있어서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일정한 거리(약 38만3000km)만큼 떨어져서 일정한 주기(약 27.3일)로 돈다. 인공위성도 마찬가지다. 지구 중력에 끌려 들어가지 않을 만큼 빠르게 움직이면서도, 지구와 부딪치지 않을 만큼 고도가 높다. 연구팀은 인공위성이 정육면체 지구의 각 지점을 지날 때마다 달라지는 탈출속도(지구 대기권을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져 단백질끼리 끌어당기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즉, 리코타 치즈와 마찬가지로 단백질과 단백질 사이에 소수성 결합이 생기면서 단백질 덩어리가 만들어집니다. 냉장고에 잠들어 있던 우유와 콩만으로도 훌륭한 식단이 완성됐습니다. 자칫 심심할 수 있었던 야채샐러드에 ... ...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떨고, 쉴 새 없이 돌아다니거나, 반대로 전혀 움직이지 않고 현관문을 바라보는 행동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지어 외출할 때 주고 나간 간식을 주인이 올 때까지 먹지 않고 있다가, 돌아오면 먹는 행동도 분리불안증의 증상 중 하나죠. 강아지가 빨랫감을 파헤쳐서 난장판을 만드는 이유는 그리운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제각각성호르몬이 분비되기 시작하고, 뇌가 구조적으로 변하면서 사춘기가 시작된다. 마찬가지로 사십춘기도 호르몬과 뇌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성호르몬은 사춘기부터 점차 증가해 20세 전후로 가장 왕성하게 분비된다. 이후 의학적으로는 ‘갱년기’라고 부르는 시기에 일정하게 유지되던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