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류"(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격리됐다.S구역에 끌려가다며칠 뒤, 보고 싶지 않은 뉴스가 나왔다.“최근 의심환자로 분류됐던 40대 A씨가 변종 플루 감염환자로 확진됐습니다. 그런데 A씨가 키우던 애완견도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개뿐만 아니라 고양이와 말, 호랑이, 고래 등이 인플루엔자에 걸린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데이터의 단어 벡터가 10만 개 이상이 되면 그 중 사용 빈도수가 낮은 단어들은 따로 분류해 모두 동일한 벡터 값을 가지게 한다”고 말했다. 평소에 쓰지 않는 학술용어가 소리 나는 대로 번역되거나, 번역되지 않고 그 단어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런 단어가 많을수록 번역 품질은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개코원숭이 등). 아메리카대륙에 사는 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로 분류한다. 이런 분류가 중요한이유는, 유인원-구세계원숭이-신세계원숭이-원시원숭이 순서로 우리 인간과 좀 더 많은 DNA 서열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진화적으로 유연관계가 높다.흥미로운 점은, 우리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할 수 없지만, 곧 갈 수도 있으니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런 명제는 ‘가능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진릿값이 두 개가 아닌 세 개가 된 것이다.이런 바람은 컴퓨터 분야로까지 퍼졌다(수학과 컴퓨터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다). 마침 무어의 법칙도 슬슬 힘에 부치기 시작한 시기였다.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의미가 있거나, 정말 특이한 생김새를 가진 생물을 추려요. 그리고 지금의 생물 분류 체계를 만든 칼 폰 린네의 생일인 5월 23일에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답니다.2016년 IISE 신종➊ 갈라파고스 거북. 갈라파고스의 외딴 곳에서 기존 무리와 갈라져 살다가 신종으로 진화했다.➋ 반짝이는 날개와 몸이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Phylum)’은 척삭동물, 절지동물처럼 골격이나 살아가는 방식을 바탕으로 동물을 큼직하게 분류할 때 사용하지요. 그런데 버제스 셰일 동물군 안에는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35개 동물문의 대부분이 속해 있어요.그래서 고생물학자들은 이 시기를 ‘진화의 실험장’이라고 부르고 있어요. 마치 앞으로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참여해 200만 개 정도의 천체를 분류했어요.최근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연구팀은 시민이 분류한 자료에서 가장 오래된 원시태양계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주변의 별과 비교한 결과 이 원시태양계가 4500만 년 전 생겼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예요. 이전까지 원시태양계가 수백만 년 안에 사라진다고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표시해요. 그리고 구부러진 모양, 끊긴 모양, 점이나 선을 이루는 모양을 영어 대문자로 분류해 T 항목에 표시하지요. 이후 손가락을 다시 갖다댔을 때, 기존에 읽어낸 지문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거랍니다.하지만 선천적으로 지문이 선명하지 않으면 센서가 지문을 인식하기가 어려워요. 또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땅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땅이 어긋나는 모양이 달라지고, 이 모양에 따라 단층을 분류해요.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받으면 한쪽 땅이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며 두 땅이 사선 모양으로 어긋나요. 이걸 ‘정단층’이라고 하지요. 반대로 양쪽에서 미는 힘을 받으면 한 땅이 다른 땅 위로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시민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어요. 사이트에 로그인해 참여하고 싶은 분야를 클릭하면 분류하거나 분석해야 할 대상의 사진이 나타나요. 사진 속에 무엇이 있는지 찾아내 보기 중 하나를 클릭하기만 하면 참여가 끝난답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도 집단지성으로 탐구할 수 있어요. 쥐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