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업일"(으)로 총 3,08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김치콘’은 보안과 해킹을 주제로 하는 학회로 2015년 시작됐다. 올해는 7월 1~2일 대전 KAIST에서 열렸다. 이름부터 ‘B급’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 학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참가자들이 목에 걸고 있는 배지다. 기판에 디스플레이 화면과 조이스틱까지 달린 배지로, 게임도 하고 공지사항도 전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학교를 들어서자마자 원자력 발전소에서나 볼 법한 방사선 마크, 탄소와 수소 화합물 벤젠, 기계의 필수요소 톱니바퀴가 신입생 지우에게 달려든다. 각각은 원자력공학과, 화학과, 그리고 기계과를 나타내는 상징이다. 이처럼 첫 화부터 이공계를 나타내는 상징물이 대거 등장하며 이공계 개그 만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학문집 어벤져스 모여라!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지요. 그래서 편집위원, 이름하여 ‘수학문집 어벤져스’를 잘 뽑아야 합니다. 이들은 친구와 선후배가 1년 동안 구슬땀을 흘리며 완성한 수학 작품을 책임감 있게 문집으로 엮을 요원들이지요.편집위원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구가 더워질수록 귀신도 진화하고 있다. 화면에서만 보던 귀신은 가고 내 등 뒤를 쫓아오는(!) 귀신이 나타났다. 가상현실(VR) 속 귀신이다. VR의 킬러 콘텐츠로 급부상하고 있는 VR 공포 콘텐츠, 기자가 직접 체험해 봤다. 귀신을 눈 앞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기술에 대해 알아보는 게 목적이었는데…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2억 년 전 중생대 초기, 트라이아스기까지도 북극은 바다가 아닌 육지였다. 그런데 맨틀에서 발생한 어떤 충격으로 인해 북극에 놓여 있던 대륙에 균열이 생겼다. 처음에는 대륙 바깥쪽이 작게 갈라지더니 시간이 흐르면서 내부가 깊숙하게 갈라지기 시작했다. 열린 틈으로 바닷물이 들어오고, 온도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인테리어 프로그램이 유행이다. 낚시를 좋아하는 남편을 위해 베란다에 낚시터를 만들어주기도 하고, 쥐꼬리만 한 공간을 멋지게 활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왜, 과학을 좋아하는 이를 위해 우리 집에 실험실을 만들어주지는 않을까. 호기롭게 기자가 일해본 적 있는 생명과학 실험실을 만들려 무작 ... ...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난 6월 25일, 전북 군산의 고등학교를 다니던 한 남학생이 유흥비를 마련하기 위해 알몸으로 미용실에 들어가 현금 17만 원을 훔친 사건이 있었습니다. “왜 알몸으로 들어갔냐”는 경찰의 물음에 절도범은 “증거를 남기지 않기 위해 CSI에서 나온 범행 장면을 흉내 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 ...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선 하나 하나를 정교하게 그려 만든 새. 완벽한 대칭을 이루고 있는 나비. 아마 이 작품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듣고 나면 깜짝 놀랄지도 모른다. 멋진 그림들은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를 이용해 만든 작품이다.이탈리아의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수학적으로 정교하게 나뉜 비율과 완벽한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페르마는 정말 그 문제를 증명했을까? 후대 수학자들의 풀이를 토대로 페르마의 진실에 접근해봤다.지난 3월 15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의 앤드루 와일즈 교수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수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됐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인터뷰에 앞서 서검교 교수와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들은 말이다. 작곡은 물론이거니와 원래 있던 음악도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학도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 나간다는 이야기다. 처음에는 수학과 음악이 비슷하다는 말이 납득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