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결합해 몸에 주입한 뒤, 몸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검출기로 살피는 것이다.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훨씬 많은 포도당을 소모하기 때문에, 방출되는 양전자의 차이를 분석하면 어느 부위에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신약 개발을 위한 단백질 구조 분석도 가속기가 활용되는 분야로, 현재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허공에 창을 띄우고 벨라트릭스를 관찰했다. 항성 표면은 이전의 평온함을 되찾아갔다. 정상적인 항성의 표면에서는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수학적 도형의 이미지들이 그 표면 위에 나타나고 있었다. 도형들은 춤을 추고 얽히면서 복잡한 문양을 만들어냈고 그 문양들은 모여서 거대한 물결을 ... ...
- 연꽃잎으로 메타물질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억제된 상태였답니다.이 쥐에 캡사이신을 1주일간 투여한 결과, 쥐의 도파민 분비가 정상으로 돌아왔어요.캡사이신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때도 있어요. 최근 경희대 진병관 교수팀이 캡사이신으로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파킨슨병은 영국의 의사 제임스 파킨슨의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그 결과, 후각 수용체 중 하나만 없어도 혈관을 찾는 시간이 30배까지 늘어났어요. 정상 모기라면 30초 만에 피를 다 빨아먹고 달아나지만, 후각 수용체가 없는 모기는 3~15분이나 걸렸던 거예요.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이용해 모기가 옮기는 질병인 뇌염이나 말라리아를 예방할 수도 있을 ... ...
- 커브볼을 치기 어려운 건 뇌 탓~!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투수가 공에 회전을 주면서 던지면 공이 곡선을 그리며 타자에게 날아가요. 이걸 ‘커브볼’이라고 하죠. 보통 타자들은 곡선으로 날아오는 커브볼 ... 따른다는 게 밝혀진 거예요.권 교수는 “커브볼 착시는 우리 뇌의 착각이 아니라 뇌가 정상적으로 일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어요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연구를 토대로 전방대상피질에 생긴 문제가 편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상적으로 활성화돼야 할 뇌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다른 부위(편도체)가 극도로 예민해져 감정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마지막은 뇌에서 기억과 함께 스트레스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 ...
- 만성 가려움증, 이유 찾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제거한 뒤 피부에 고통을 주는 자극과 간질이는 자극을 번갈아 줬다. 쥐는 센 자극에는 정상적으로 반응했지만 미세한 자극에는 과잉으로 긁는 행동을 보였다. 이는 미세한 촉각을 느끼는 신경회로가 별도로 존재하며 NPY 단백질이 전달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흥미로운 사실은 털이 있는 ...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교수는 뇌의 어느 부분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조절하는지 알아냈다. 할라사 교수는 먼저 정상 쥐가 여러 가지 자극 중 어떤 자극을 선택하고 어떤 자극에 집중하는지 알아봤다. 이를 위해 쥐로 하여금 빛에 집중하게 한 다음, 빛과 소리 자극을 동시에 줘서 둘 중 하나를 따라 이동하게 했다. 실험결과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테라노스 검사결과 혈청크레아틴 농도가 110㎛ol/L였고, 검사결과에 함께 표시되는 ‘정상 농도’는 50~115㎛ol/L다. 환자는 이를 보고 안전하다고 자가진단을 할 것이다. 하지만 숙련된 의사라면 환자의 이전 검사결과를 확인할 것이다. 만약 환자가 이전에도 80㎛ol/L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한적이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큰 피해를 입히며 고열을 일으킨다. 증식만 넘기면 원충이 다시 조직에 숨어들어 정상 체온으로 돌아와 생명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투 교수는 중의학에서 열성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된 약재로부터 치료제를 찾기 시작했다. 200개 가량의 후보를 검토한 결과 1971년 개똥쑥에서 아르테미시닌을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