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납득할때까지 혼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이런 차이 때문일까? 그 집단의 지식인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지만, 그로텐디크는 현대 수학을 완전히 바꿔놓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런데 순수한 학문 연구기관이 길 바랐던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올릴 수 있을 만큼 작아져 누구나 쉽게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가 아는 지식의 경계는 훨씬 더 넓어질 것이다. 가속되는 입자의 에너지를 더 높이고 발생한 입자의 빔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쉽게 나노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1995년 출간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과학은 단순히 지식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생각하는 방법이다”라고 썼다. 그간 비합리적인 결정을 해오진 않았는지 점검할 수 있는 기회다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선물이 됐다. 미 정부는 그의 유지를 잘 살려 미국인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깊고 넓은 지식을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박물관을 1881년 건립했다. 1905년에는 이탈리아 제노바의 영국인 묘지에 안장돼 있던 스미스슨의 시신을 미국으로 가져와, ‘미국의 위대한 후원자’란 이름과 함께 스미스소니언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안도감’도 한 몫 했다. 미국의 소셜네트워크 기반 지식인 서비스 ‘쿼라(Quara)’에는 ‘왜 한국에는 노벨상 수상자가 없는가?’라는 질문이 올라와 있다. 물론 과학 분야에 한정한 얘기다. 첫 답변은 인도 캘커타대를 졸업하고 한국의 국립대 대학원에 다녔다고 밝힌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청사진을 제시했다. 뉴럴링크의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회로망을 연결하는 것은 간단한 일은 아니다. 우리 뇌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복잡한 뇌의 활동을 전기적인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화장품과 약에 대해 처음 법적인 정의를 내린 1938년에는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거의 없었다”며 “그동안 피부를 변화시키는 수많은 물질들이 발견됐기 때문에 새로운 범주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1938년 당시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화장품과 약을 법적으로 정의하면서, 외모를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판단할 때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에만 의존하기 쉬워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사람마다 보는 세상이 각기 다르며,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다. 뇌과학으로 인지적 오류 설명철학자들은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행사하고 있으므로 이제 이 행성을 잘 관리하는 법을 배워야만 한다”며 “다양한 전문 지식들 사이의 연결을 보지 못하면 행성을 관리하는 방법 같은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인터뷰 말미, 크리스천 교수는 ‘과학동아’의 젊은 독자들에게 “빅 히스토리를 통해 인류가 향후 50년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게 되고 말았지만, 그래서 이름조차 거의 사라지고 말았지만, 그 시절에는 꽤 유용한 지식이었던 생물형 신체 보존과 수리 기술에 관해서요. 그리고 저는 결국 보고 말았습니다. 존재가 전송되는 순간, 보통 사람들은 알아채지도 못할 만큼 대단히 짧은 순간 동안, 원본을 담은 신체와 전송받을 신체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