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백
진공증류
증류
공허
진공도
텅 빈 곳
d라이브러리
"
진공
"(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실험장치들이 고안됐다. 그 중에서 옛소련의 사하로프와 탬에 의해 자기장을 가지는
진공
용기로 개발된 토카막(Tokamak) 장치는 1968년 처음으로 1천만도로 초고온인 플라스마를 1백분의 1초 이상 가두어 핵융합 연구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토카막 장치를 이용한 연구로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 2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그는, 이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진공
유리관으로부터 상당하게 떨어져 있던 백금시안화바륨 스크린에 이상한 섬광이 나타났다. 음극선에서 방출되는 형광으로 보기에는 너무 먼 거리였다. 뢴트겐은 여러 차례 반복실험한 결과 그 원인이 ... ...
마르코니의 무선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1873-1961)가 3극
진공
관을 발명했다. 무선전신은 1950년대 말 트랜지스터가 발명될 때까지
진공
관의 도움을 받아 크게 번성했다. 그리고 마르코니는 무선전신기의 발명으로 190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있다. 우선 CRT 화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기술은 매우 어렵다. 두 번째로 CRT 내부를 고
진공
상태로 유지해야 되는데, 평평하게 만들려면 CRT의 유리 두께도 훨씬 두껍게 된다. 또 성능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갖는 장치들도 구비해야 한다. 결국 화면이 큰 CRT TV는 필연적으로 무겁고 커질 수밖에 ... ...
밤하늘의 수채화 성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들어있다. 별 사이의 공간은 지구의 어떤 실험실에서 만들어낼 수 있는 것보다 더 깨끗한
진공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희박한 성간 물질이지만 이들이 모여들면 두꺼운 성운을 만들고 주변에 있는 별의 빛을 받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빛나는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한다.스스로 빛을 내는 ... ...
19세기의 유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그래서 19세기 중엽부터 물리학자들은 전기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해 크룩스관으로
진공
방전을 연구하고 있었다. 크룩스 방전관은 내부 기체의 압력을 대기압의 1천분의 1 혹은 1만분의 1로 낮춘 다음 유리관 양쪽 끝에 쇠로 만든 전극을 끼워 만든 것이다. 이 전극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극 사이에서 ... ...
③ 수소가 펼치는 우주의 경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훨씬 희박하다. 별의 경우 1cm3당 1024개의 수소 원자가 있는 것에 비하면, 성간은 그야말로
진공
그 자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별들은 우주 공간에서 보면 아주 작은 점에 불과하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는 4.2광년으로서 태양 지름의 3천만배이다. 따라서 우주에 있는 희박한 수소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관통하는 개념이다.게이지 불변성넷째, 작용점 보정의 문제다. 전자의 자기에너지나
진공
분극은 각각의 장을 변화시키고 그 결과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항을 무한대만큼 변화시킨다. 이것을 작용점 보정(vertex correction)이라 한다. 이 무한대는 소위 게이지 불변성이라는 대칭성에 의해 다른 세가지의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않고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견했다.그러면서 자기장을 이용해
진공
상태의 원자를 포획하는 현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레비트론 이라는 장난감을 보여줬다. 자석이 들어있는 상자 위에서 회전시킨 작은 자석 팽이는 공중에 떠있었다. 즉 회전하는 작은 팽이는 스핀을 갖고 있는 원자인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우주유영을 할 때 우주선 밖으로 들고 나간 카메라는 일본의 니콘 카메라였다. 그후 초
진공
, 극저온 상황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이 증명된 니콘 카메라는 우주카메라의 대명사가 됐다. 오직 아폴로계획 때에만 중형카메라의 대명사인 핫셀브라드의 독무대였다.스위스 빅토리녹스가 만든 아미나이프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