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한"(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부피가 큰 물체일수록 더 쉽게 물에 뜨게 돼요. 섬도 마찬가지지요.우로족은 섬의 부피를 최대한 크게 만들기 위해 섬을 두껍게 만들어요. 부피는 섬의 넓이와 두께가 클수록 커지거든요. 그 결과 우로스 섬은 두께가 무려 3m나 되지요. 게다가 토토라는 굵기가 2cm나 될 정도로 두꺼우면서도 속은 텅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키트를 활용하게 되면, 가진 예산으로는 80명에게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최대한 많은 참가자들에게 지오데식 돔을 접하게 해 주고 싶었던 학생들은 좀 더 저렴한 빨대를 쓰기로 했다. 크기도 확 줄여 일반 빨대 하나를 둘로 잘라 손수 키트 250개를 만들었다. 이를 위해 동아리 부원 7명이서 18,00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무선 통신 중간에 기지국과 같이 광섬유 기술을 적용한 장치를 써서 통신 효율을 최대한 높였거든요.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볼 때 요즘은 거의 끊기는 일이 없잖아요. 세상 참 많이 좋아졌습니다. 광컴퓨터 여러분 ‘광컴퓨터’라고 들어보셨나요? 광컴퓨터는 계산을 할 때 전기신호가 아니라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 있다. 점도가 높을수록 용액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나 분자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최대한 붙어 있으려고 한다. 따라서 흐르는 속도가 느리며 그 사이를 통과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물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기름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엿이나 꿀을 숟가락으로 뜰 때 길게 줄이 생기게 된다.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박혀 있는 것과 같아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의 수를 늘려 집광력을 높이거나, 최대한 간격을 넓혀서 분해능을 높인답니다.합성망원경의 원조 ALMAALMA(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는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 늘어선 전파망원경 66대의 집합이에요. 2013년부터 가동을 시작했지요.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상상해보세요.”이우섭(KIST 로봇·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Q . 로버는 거북이처럼 최대한 달 표면에 바짝 엎드려 다니도록 만들어야 하나요?A . 아니요. 오히려 반대로 로버의 바닥이 달 표면과 멀리 떨어지도록 만들었어요. 돌처럼 크고 작은 장애물을 만나도 그대로 통과할 수 있게 한 거죠. 그래야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실험에서 크랩스터의 성능이 확인되면, 고고학자들이 직접 물 밑으로 내려가는 일을 최대한 줄이면서 수중문화재를 발굴할 수 있을 터였다. 바다와 수중고고학, 그리고 첨단기술이 만나는 현장이었다. 8시 35분, 격납고 문이 열리고 소형차 만한(가로 세로 각 2.4m, 높이 1.3m) 크랩스터가 모습을 ...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먹어서 몸속의 지방으로 에너지를 축적한다. 그리고 비행을 하는 동안에는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한다.대표적인 절약 방법은 여러 마리의 새가 세로로 줄을 지어 나는 ‘편대비행’이다. 새가 날갯짓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면 공기는 새의 몸 위, 아래로 갈라지게 된다. 이때 몸 위로 올라간 공기는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②렌즈를 통해 ③화면에 뜬 가상현실을 본다는 점은 같다. HMD를 써도 맨 눈으로 볼 때와 최대한 비슷해야 가상현실이 실감나고, 몰입감이 생긴다. HMD는 시야각, 해상도, 반응속도 순으로 눈을 닮아왔다.몰입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 시야각이다. 컴퓨터나 TV가 제아무리 현실묘사력이 좋아도, ... ...
- [과학뉴스] “변기 고치는 데 드는 수백억, 아낄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주최한 콘래드재단에서 받은 연구비로 상용화할 수 있는 우주변기를 만들 예정입니다. 최대한 빨리 시작하는 게 목표고요. 팀원들과 만나게 된 한국청소년항공우주학회를 발전시키고, 졸업 후엔 항공우주공학개발자로 성공하는 게 꿈이에요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