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이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특수
"(으)로 총 2,5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할 수 없다.조직기증은 온도와 습도, 먼지와 유해가스, 미생물 등이 기준치를 넘지 않는
특수
청정실에서 진행된다. 조직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오염된 조직은 이식받은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할 만큼 치명적이다.가장 먼저 채취하는 부위는 각막이다. 각막은 채취부터 기증까지 사후 6시간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게 문제다. 이는 로봇팔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가다듬고 인공위성을 정비하는 데 쓸
특수
도구를 만들어 해결해야 한다.NASA는 보고서에서 “무인 정비위성을 만드는 데는 특별히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현존 기술과 도구를 종합해 더욱 정교하게 다듬으면 된다”고 끝을 맺었다. 김해동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수 있는 것이다. 광섬유센서는 설치가 간단하다. 측정 대상에 감기만 하면 된다.
특수
광섬유 응용연구실은 이 센서를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수소연료 자동차의 발전기나 컨버터의 전류 변환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하고 있다. 측정할 수 있는 전압의 범위도 넓어 발전소와 변전소 설비의 ... ...
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시간여행 티켓이 날아왔다. 1파트에서는 아인슈타인이 자신이
특수
상대성이론를 발표한 스위스 베른으로가 시간여행의 과학적 개념이 탄생한 순간을 지켜본다. 2파트에서는 ‘타임머신 터미널’에 들러 과거와 미래로 가는 시간여행의 방법을 알아본다. 3파트에서는 빛보다 빠른 입자의 출현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미래를 오갈 수 있을 것이다.2011년에 불가능한 이유웜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려면
특수
한 물질이 필요하다. 이 물질은 질량이 0보다 작은 음의 에너지밀도와 음의 중력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 웜홀이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여행자가 웜홀 속을 통과할 때 ... ...
법정에 선 지진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범죄를 저질렀다고 의심이 깊게 드는 경우라도 과학적 증명이 곤란한 지진예측의
특수
성을 이유로 형사책임을 묻지 못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단 이 사건에서 손해배상이나 형벌을 받게 되느냐는 문제는 과실의 개념이 개방적이고 불명확하기 때문에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수밖에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할 수도 있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빛을 사용하는 것이라네.”잘 알려졌듯 1905년
특수
상대성이론을 발표하기 전에 아인슈타인은 특허청 직원이었다. 아인슈타인에게 특허청 업무와 기적의 해 1905년의 논문들이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아인슈타인이 주로 심사했던 특허출원이 바로 시간 ... ...
물리 -
특수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특수
상대성 이론이 발표된 지 100년이 지났지만, 시간 지연과 공간 수축 개념은 여전히 신기하다. 이 이론은 우리의 상식과 통념에 도전하며 이론이 보여주는 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우리에게 요구한다. 이번 호에서는
특수
상대성 이론을 살펴보자.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교수는 “중성미자가 새로운 차원으로 이동해 지름길을 통과했다”며 “이 경우
특수
상대성이론을 깨지 않고도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많은 의견들이 실험결과를 설명하려고 하고 있다. 윤천실 박사는 “만일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사실이 후속실험에서 입증이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물리학과 초빙교수는 “관측을 하기전에는 양자가 ‘파동함수(양자의 상태를 설명하는
특수
한 함수)’의 형태로 공존하고 있다가 (여러 상태가 겹쳐 있는 ‘중첩’) 관측을 하는 순간 파동함수가 깨지며 양자의 특성이 하나로 결정된다”며 “하지만 그렇다는 사실을 알 뿐 이유는 모른다”고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