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 후보 정말 찾았나과학동아 l2013년 05호
- AMS의 관측 결과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있다.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BK부교수는 “초신성이나 강력한 전파원인 펄서에서도 양전자가 많이 만들어진다”며 “전에 비슷한 임무를 했던 관측기기 ‘파멜라(PAMELA)’에서도 양전자가 관측됐지만, 결국 펄서가 원인으로 밝혀졌다”고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손가락을 만들 때 필요하답니다. 피부보다 더 예민한 인공피부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팀은 대장에 나 있는 융털돌기를 흉내 내 누르거나 당기거나 비트는 자극을 느낄 수 있는 센서를 만들었어요. 과학자들은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되는 성질을 본떠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도 ...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브린모어 대학이 그녀를 초청하는 데에 성공했다. 전임교수 4명과 대학원생 5명에 불과한 학부교육 중심이었던 브린모어 대학으로서는 모험을 감행한 것이다.그녀는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브린모어에 있으면서 프린스턴 대학에서도 강의를 했는데, 뇌터의 업적을 이해하는 동료와 학생들에 둘러싸여 ...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잘 모르겠다”거나 “좀 더 두고보자”는 의견이 강했다. 이원종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양-밀스 이론에서 질량 간극은 상태에 따라 무한 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며 “어떤 질량 간극을 해결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조 교수팀이 쓴 자기홀극 응축으로 답을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중에서는 ‘각파워스펙트럼’이라는 그래프(아래)가 중요하다.이명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온도차가 나는 부분이 얼마나 뭉쳐 있는지를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비유하자면 인구가 20만 명인 도시의 수, 50만 명인 도시의 수, 1000만 명인 도시의 수를 기록한 것과 같다. 이 자체로도 의미가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오는 4월 1일까지 로슬린 성당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악을 연주하지 않으면, 로슬린 성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베타-D-10 의문투성이 로슬린 성당‘혹시 이 편지를 보낸 사람은 지난달 시계탑 폭파 사건의 용의자 베타?’아무래도 사람이 많이 모이는 유적지만 골라 시민들을 곤란하게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암흑에너지처럼 음의 압력을 보이는 등 이상한 현상이 나타난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신용일 교수는 “음의 절대온도가 절대영도보다 더 ‘차갑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이번 연구가 기존의 온도 개념을 뒤흔들어 놓았다는 사실은 맞다”고 말했다. 드디어 고생 끝~! 우주에서 가장 추운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일이 가능할까.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연계의 기본 힘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힘의 원천을 다뤄야 하는데, 원천을 그대로 둔 채 힘만 조종하는 일은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중력을 차단하는 물질도 없다.현실 속에서 반중력이라는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점점 높아져 마침내 중력파 발견을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현재 진행 중인 라이고와 버고의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몇 년 안에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지금도 중력파를 검출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중력파의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무한 온도다. 온도가 낮아지는데 어떻게 뜨거워질 수 있을까.신용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음의 온도 체계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뜨거워지는 까닭은 온도를 표기하는 방식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이런 혼란을 줄이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온도에 역수를 취한 값을 쓴다”고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