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 더해 더 선명해진 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물리적 특성을 더 정확히 측정하고 연구할 수 있게 해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연구
팀
은 프리모를 활용해 보완한 이미지가 EHT 관측 자료 및 이론적 예상치와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디미트리오스 프살티스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는 “블랙홀 이미지를 공개한 지 4년 만에 해상도를 ... ...
부품 고장 '광개토대왕함', 3D프린팅 기술로 하루만에 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광개토대왕함. 위키피디아 제공 3200t급 광개토대왕함은 1998년 실전 배치된 제1호 한국형 구축함이다. 우리 해역을 수호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최근 광개토대왕함이 운용을 멈췄다 ... 밝혔다. 이협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시흥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수석연구원(가운데) 연구
팀
. 생기원 ... ...
기후변화가 메이저리그 홈런수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밀도가 낮아지면 공기 저항력이 감소해 공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
팀
은 앞으로 메이저리그 경기에선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은 홈런의 비중이 더 늘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2010년 이후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나온 홈런 중 1% 가량이 기온상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는데 ... ...
고래가 암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년을 산다”며 “여왕개미가 더 나은 DNA 복구 기능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
팀
은 실험 쥐가 암 연구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내놨다. 케이건 연구원은 “쥐의 수명이 매우 짧아 암 연구엔 최고의 모델이 아닐 수 있다”며 “수명이 더 긴 동물을 연구하는 것을 고려해야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복무하며 모함과 헬리콥터 간 무선통신 문제를 비용이 낮은 과학기구로 풀고자 이 교수
팀
에 합류했던 강정표 해군 항공사령부 중령은 “국내에서는 마땅한 발사 장소가 없어서 영덕 축산항 방파제에서 발사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1875년 프랑스 열기구 조종사인 조셉 크로스 스피넬리와 ... ...
[오늘과학] 적당한 음주, 건강에 이롭다?..."하루 두 잔도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섭취량이 45g(3잔) 이상일 경우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팀
은 "술을 적당히 마시는 사람들이 평생 금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장수 관련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이점은 없었다"고 밝혔다. ... ...
우주로켓 공중발사 '버진오빗' 파산...2024년 국내 서비스 '무산'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위해 큰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결국 사업을 위해 최선의 조처를 하게 됐다"이라며 “우리
팀
이 개발한 최첨단 발사 기술은 충분히 구매자들의 관심을 끌 것”이라 밝혔다. 기업 매각 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뜻이다. 버진오빗은 우주발사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기업이다. 버진오빗의 우주발사체인 ... ...
[기자의 눈] 출연연 문제 산적한데…기술패권 시대 '선봉장' 할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데일리뉴스
팀
기자 연구과제중심제도(PBS) 개편, 인건비 운용, 공공기관 지정 해제, 연구자 이탈, 시대에 뒤쳐진 처우. 최근 본지에서 [출연연 NOW]라는 제목으로 진행한 기획을 통해 들여다본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오랜 기간 맞닥뜨린 키워드들이다. 열거한 키워드들은 극히 일부에 ... ...
[인사]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동아사이언스 ▽부장 승진 △데일리뉴스
팀
김민수 ...
KAIST 양자대학원 운영 돌입..."석박사급 양자 인재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상호협력해 공동 교육을 접목한다. KAIST 교수와 겸직교수로 임용된 출연연 연구원이
팀
을 이뤄 1명의 학생을 전담하는 ‘공동지도교수제’와 학생 참여 공동연구 등을 도입한다. 김은성 KAIST 양자대학원 책임교수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와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시카고대학과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