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먼지의 영향
과학동아
l
199304
지구상 어디에서나 가뭄과 더불어 푸석푸석한 토양의 상태에서 강한 바람과 합쳐지는
곳
이라면 먼지폭풍은 언제나 일어난다. 알래스카의 알칸 고속도로에서 폭풍이 불면 플라스틱 테이프로 봉하여 잠근 여행가방 조차도 먼지의 침입을 받는다. 몇년 전 캘리포니아의 중앙대계곡에서 일어난 심한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03
튜브의 팽창과 휨까지 고려하여 1/1800° 이내로 그 별을 맞추어 준다. 이는 1km 떨어진
곳
에서 맞추었을 때 오차가 1cm 보다도 작은 정도의 정밀도다. 또한 이 망원경에는 관측 중 목표 천체로부터 절대로 1/18000° 이상 멀어지지 않는 완전 자동추적장치가 부착돼 있다.이 망원경은 각 부분별로 프랑스의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03
피어나는데 이때 피는 빨간 양귀비바람꽃은 우리나라의 봄을 장식하는 진달래처럼 이
곳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다.이 꽃의 지하경(땅속줄기)은 둥굴고 많은 양분을 저장하고 있으며 매년 그 지상부가 자란다. 보통 높이 45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대가 없고 잘게 갈라진다. 원줄기 끝에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03
현재 초고속선을 개발중인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고속 예인 수조시설을 갖춘 연구소가 1
곳
이상씩 있다.일본에서는 정부의 지원아래 대형 7대 조선소가 연구조합을 결성해 개발중에 있다. 이미 조선산업이 사양화된 미국과 유럽의 여러나라에서도 초고속선의 수요증가에 맞추어 부가가치가 크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03
세로길이 40cm인 이 검사기의 돋보이는 점은 매우 빨리 움직이면서도 누수 등 문제가 있는
곳
을 빠짐없이 찾아낼 뿐 아니라 그 위치를 정확히 지적한다는 것이다. 다리 8개 달린 화산 탐사용 로봇에리버스화구 탐험 실패단테라는 이름을 가진 모험로봇이 제작돼 실제 모험에 나서고 있다. 미국 카네기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03
지구 위의 어느
곳
인가를 비추고 있다. 그러나 이 태양이 사람들이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곳
을 항상 비춰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만약 누군가가 우주에 커다란 반사경(reflector)을 설치해 놓고 태양광선의 일부를 붙잡아 지구의 어두운 쪽에 빛을 비춰주면 얼마나 좋을까?과학자들은 이러한 생각이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03
경통 속에는 대물렌즈 등 파손되기 쉬운 정밀한 광학부품이 들어 있으므로 다른
곳
과 부딪치지 않게 양손으로 받쳐가며 조심스럽게 조립해야 한다.가대 윗부분의 경통부착밴드를 풀어 그위에 경통을 올린 다음 부착밴드를 닫고 핸들을 잠궈 고정시킨다. 다리위에 가대와 무게균형축, 무게균형추, ... ...
사람을 삼키는 비누방울과 네모난 비누방울
과학동아
l
199303
매력은 어디에 있을까요? 세계 어느 나라든지 어린이들이 비누 방울 놀이를 하지 않는
곳
은 없을 겁니다. 어른이 되고 나서도 비누 방울 놀이를 하는 아이들을 보면 한번쯤 다시 해 보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비누 방울의 어떤 매력 때문에 그렇게 오랜 뒤까지 그런 생각이 나는 것일까요? 비누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03
결과물들을 쏟아내지 못합니다. 오히려 망원경이나 여러 관측기구들을 사용하는
곳
이라고 하는 편이 나을 것입니다. 돈을 벌어들이기보다는 자꾸 돈을 사용하는 기관이란 셈이지요. 결과물이라야 연구논문 정도니 다른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 비하면 효율적인 측면에서 크게 떨어지지요."이야기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03
가능성에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처음 토성과 목성을 탐사하지만 생물체가 살 수 없는
곳
임을 알게되고 화성으로 접근한다. 화성 역시 목성이나 토성과는 달리 표면이 딱딱하지만 기온이 너무 춥고 표면이 황량해 지적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이들은 지구에서 발사되는 여러가지 전파음을 ... ...
이전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