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수많은 원인 중 하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비행기구름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예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는 없다. 인간은 피붙이가 아닌 상대도 자주 도와준다. 목욕탕에서 처음 본 사람의 등을 밀어주기도 하고, 얼굴만 알고 지내는 직장 동료에게 점심을 사기도 한다. 비친족간의 협력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애덤 스미스, 롤스, 해밀턴,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짐작했듯이, 상호성(reciprocity)이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않았는데 방에 있는 사람을 훑어보던 그 눈이 저에게 와서 멎었어요. 오빠들이 제 등을 밀었습니다. 무신경한 인간들.저는 다가가서 기준 오빠 곁에 앉았습니다. 오빠가 말을 하고싶어 했는데,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습니다.“목소리는 좀 걸릴 거예요. 너무 오래 안 써서.”누군가 알려주었습니다 ... ...
- Part 3. 자기장과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나타나기 때문에 분석할 수 있는 자료가 제한적이랍니다.나카타 박사팀은 도로나 공사장 등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했어요. 일상 진동이 지하 구조에 따라 일정하게 변화될 거라고 생각한거죠.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있는 수천개의 지진센서에 기록된 일상 진동들을 ...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예언이 사실이었다고 밝혀냈어요! 우거호 교수팀은 지구 핵 내부의 중력과 핵의 밀도 등을 고려해서 실제로 지구 핵에 적용되는 시간을 계산했어요. 그 결과, 지구 핵의 시간이 1초마다 0.0000000003초씩 느린 것으로 나타났지요.매우 작은 차이지만 이 시간이 45억 년간 누적되니 무려 핵이 2.5년이 더 ... ...
- [과학뉴스] 속닥속닥~, 박테리아의 대화를 엿듣는 아메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원생생물은 박테리아와 달리 핵을 가진 생물로, 아메바(위 사진)와 짚신벌레 등이 여기에 속한답니다. 네덜란드 국립생태연구소 연구팀은 토양에 사는 6종의 박테리아와 3종류의 원생생물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박테리아가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정도에 따라 원생생물의 활동성을 관찰했지요.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쓰이기도 해요. 그만큼 정확성을 인정받은 것이지요. 이정도의 기술은 미국과 독일, 일본 등 9개 나라만이 가지고 있답니다.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는?현재 가장 정확한 원자시계는 스트론튬 원자시계와 이터븀 원자시계예요. 스트론튬 원자시계에 사용하는 전자기파는 1초에 약 450조 번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물에 걸려 죽는 경우가 많아요. 천적이 없는 수달에게 ‘사람’이라는 강력한 천적이 등장한 셈이지요. 그 결과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현재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답니다.“수달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강에 통로를 따로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또 수달이 그물 안에 갇혀 익사하는 것을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작은지만 알면 충분하다. 그래서 물리학자는 레이놀즈 수를 구할 때 유체의 속도와 점성 등을 근삿값으로 계산한다. 만약 유체의 속도가 0.2345m/s라면 0.2 혹은 0.1로 자릿수만 유의해 계산하는 식이다. 그러면 빠르고 쉬우면서도 유체의 성질을 충분히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페르미 추정과 ...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부근 열대 우림에 사는 새일수록 날개가 짧고 둥근 경향이 있었다. 반면 유럽이나 북미 등 온대지역에 사는 새일수록 날개가 길고 뾰족했다.사는 지역에 따라 날개가 다르게 진화한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날개 모양이 새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적도에서 먼 지역에 사는 ... ...
이전6766776786796806816826836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