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과학동아 l2005년 06호
- 201555 성인병 예방치료 기술 실용화 201456 무균 물탱크와 바이오파이프 개발 201457 고분자 약물전달 소재기술 개발 201558 감염성 질환 예방과 치료백신 개발 201559 고정밀 측지기술 실용화 201360 초전도체 이용 MRI, 뇌자도, 심자도 등 보급 201361 자연정화능력 향상기술 보급 201562 사막화 감시기술 실용화 ...
-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솥 바위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분해되거나 부서지면서 차츰 홈이 커져 커다란 구멍이 돼 가마솥 바위가 만들어진다.만약 홈 안에 이끼나 초목 등 식물이 자리를 잡으면 화강암은 더 빨리 풍화된다. 화강암에 뿌리를 내린 식물이 유기산과 부식산을 내뿜으면서 암석의 화학적 풍화를 일으켜 암석이 보다 쉽게 붕괴되기 때문이다 ...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약으로 개발하려는 것이다.미국 아이오와대 조웰 웨인스탁 박사는 더 ‘엽기적인’ 약을 기생충을 이용해 개발하고 있다. 아이오와대 의대 연구진은 1997년 궤양성 대장염에 걸린 환자 7명에게 동물의 장에 사는 기생충의 알을 몰래 먹였다. 이들은 기존 치료법이 전혀 듣지 않았던 환자였다. 2주 뒤 ...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명령어를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구조도 매우 복잡했다. 메모리가 비싸고 용량에도 제약이 심해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에 복잡한 명령어를 넣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80년대 들어 차츰 메모리 용량이 커지고 가격도 내리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 ...
- 수성, 금성, 토성이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수 없다.6월 25일에 가장 가깝게 3행성이 모이지만 꼭 25일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6월 말 약 보름 동안 3행성은 서로 매우 가깝게 모이므로 이 기간 중 날이 맑은 날 아무 때나 관측을 시도해보면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소형 쌍안경을 사용해 관측한다면 맨눈으로 보는 것보다 더욱 쉽게 ...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잇는 모세혈관을 발견하지 못했고 따라서 완벽한 순환 과정을 보여준 것은 아니다. 만약 하비가 당시 유행하던 현미경에 관심을 가졌더라면 모세혈관을 발견해 자신의 순환이론을 보기 좋게 완성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결국 모세혈관은 한 세기 뒤 이탈리아의 현미경학자 말피기가 관찰했다 ...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아래팔이 접히는 팔오금 부위에서 노동맥과 자동맥으로 갈라진다. 혈액을 뽑거나 혈액에 약을 넣을 때는 주로 팔에 있는 피부정맥을 쓴다.동맥과 정맥을 잇는 연결부위인 ‘동정맥연결’은 몸의 끝부분에 많다. 평소에는 동정맥연결이 닫혀 있어 혈액이 몸 끝부분의 모세혈관까지 전달된다. 그러나 ... ...
- 지구의 거친숨소리과학동아 l2005년 06호
- 5명이 죽고 2027명이 다쳤다.지구에서 가장 넓은 폭포인 남아메리카 이과수 폭포는 길이가 약 1320km나 된다.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에는 유량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2배나 돼 귀가 찢어지는 엄청난 소리를 낸다. 4km에 걸쳐 초승달 형태로 늘어서 있는 절벽은 275개의 크고 작은 폭포로 이뤄져 있다. 전설에 ...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멀쩡한 사람에게 감염되면 열이 좀 나고 림프선이 붓는 정도에 그친다. 그러나 면역이 약한 사람에서는 뇌에 병을 일으키는 등 온갖 나쁜 짓을 다 한다. 임산부가 톡소포자충에 감염되면 머리에 물이 차고, 눈에 염증이 나는 등 기형을 동반한 어린아이를 낳을 수 있다.이 기생충이 전파되려면 먼저 ...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과학동아 l2005년 06호
- 60mm, 2세대는 370×470mm로 면적이 약 1.8배 늘었다. 2세대에서 3세대는 2배, 3세대에서 4세대는 약 1.9배, 이런 식으로 7세대 82인치 LCD까지 1세대마다 면적이 거의 2배씩 늘었다.LCD를 만들 때는 커다한 유리원판 하나를 여러 개로 자르는데 이 유리원판의 크기에 따라 세대가 나뉜다. 원판이 클수록 기술은 ...
이전6766776786796806816826836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