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국이 휘청휘청~, 태풍 곤파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태풍 ‘곤파스’가 한반도를 지나갔어요.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52.4m로, 철탑도 휠 정도로 강력했지요. 곤파스 때문에 새벽 5시부터 9시까지 수도권 전철과 KTX 운행이 일부 중지되고, 700년 동안 창덕궁을 지켜온 천연기념물 제194호인 향나무도 가지가 부러졌답니다. 사진은 남해에 상륙한 곤파스를 ... ...
- 콩심은 데 콩난다! 우리 가족이 닮은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유전법칙을 발견한 지 15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DNA의 95%가 무엇을 하는지 잘 모를 정도로 아직은 유전에 대해 우리가 모르는게 더 많단다. 유전 박사인 나 송편도 아직 모르는 유전에 대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자라서 꼭 밝혀 주길 기대할게~ ... ...
- 자판기에 생명을 불어넣은 종이컵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자팡기애게. 나 업새블라는 세상에 너무 마는 발명품이 잇따고 생각한대.종이컵 정도는 없어도 되지 않을라? 하하하…!편지를 읽은 썰렁홈즈는 주먹을 불끈 쥐었다.“업새블라 녀석! 또 사고를 쳤구나.”썰렁홈즈는 무하마다 자팡기와 함께 종이컵 발명가를 찾으러 1907년 미국의 하버드대학교로 ...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잘 되기 때문이에요. 곰팡이도 잘 생기지 않지요. 이렇게 구한 나무를 껍질을 벗겨 3년 정도 자연 건조시키면 최고의 건축 재료가 된답니다. 이번에 광화문에 쓰인 금강송도 2007년 11~12월에 강원도 삼척에서 벤 나무예요.그럼 진짜 문제 나갑니다. 다음 중 건축물에 쓰지 못하는 나무는 무엇일까요?① ... ...
- 옹알이, 아기 엄마는 다 알아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옹알이를 들려 준 후 자기공명영상으로 뇌를 촬영해 비교했어요. 그 결과 생후 50일 정도의 아기를 가진 엄마만 옹알이를 들은 후 언어를 관장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지요. 엄마에게 아기 옹알이가 어른들이 하는 말처럼 들린 거예요.한편 옹알이를 할 때, 아기의 뇌가 활발해진다는 ... ...
- 트위터하는 자전거,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여행을 하고 있답니다. 벌써 1028마일, 그러니까 1654㎞나 달려 왔지요. 여행의 약 5분의 4정도를 한 셈이에요. 제 트위터는 물론 홈페이지 yesiamprecious.com으로 들어오시면 지금 제가 어디를 어떤 속도로 달리고 있는지, 달리고 있는 곳의 날씨가 어떤지는 물론 개가 쫓아온 건 몇 번인지와 같은 소소한 ... ...
- 풍속화 속에 천문학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추수를 끝낸 뒤 모여서 놀이를 하는 여유로운 모습이 그려져 있어요. 이 그림은 A4 1장 정도로 작은 크기지만, 그 속에는 두 명의 주인공과 20명이나 되는 구경꾼이 함께 그려져 있어서 긴장과 여유가 동시에 느껴져요. 사람들의 표정을 보고 누가 이길지 맞혀 볼 수 있을까요?조선시대의 별자리 그림이 ... ...
- 폭풍우를 뚫고 웨이크 섬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52km다.다음 날, 바다는 평온을 되찾았다. 불과 하루 전날 폭풍우를 지나친 것이 의심이 들 정도다. 항해 508일째를 맞은 장보고주니어 호는 이날 날짜 경계선(경도180°)을 넘었다. 2월 28일에서 바로 3월 2일이 된 셈이다. 하루를 잃어버린 느낌이다. 한국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경도는 점점 줄어든다.다음 ... ...
- 출동~!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보이는 곳) 근처로, 깊이가 4m쯤 되는 곳이지. 뉴칼레도니아의 라군 전체 깊이는 평균 25m 정도인데, 배리어 리프 근처에서 얕아졌다가 라군이 끝나는 순간 수백m로 확 깊어진다고 해. 그래서 큰 배는 배리어 리프를 통과할 수 없어서 리프가 없는 곳으로만 지나다닐 수 있지. 수십 년 전, 무리하게 ... ...
- 다빈치처럼 관찰하자! 과학 일러스트 도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물의 소용돌이를 관찰했고, 태아가 자궁 속에서 어떻게 자라는지 궁금해 시체를 해부할 정도였어요.그래서 그는 비밀노트에 ‘눈은 자연이라는 완전 무결한 작품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게 해 주는 필수도구이다’라고 적었지요. 여러분들도 다빈치 처럼 관찰하는 연습을 해 보세요. ” ... ...
이전676677678679680681682683684 다음